감별진단 목록

반려견이 눈을 찡그리는 원인 : 찡긋, 윙크, 눈을 작게 뜨고 있는 원인

::::: 2024. 12. 26. 18:19
반응형

1. 감염성 원인

  • 바이러스: Canine herpesvirus, Canine distemper virus, Canine adenovirus-2.
  • 박테리아: Leptospira spp., Bartonella spp., 기타 세균성 감염.
  • 진균: Aspergillus spp., Cryptococcus neoformans, Blastomyces dermatitidis.
  • 기생충: Thelazia (안충), Ocular larval migrans.

2. 면역 매개 및 염증성 질환

  • Uveodermatologic syndrome (특정 품종에서 흔함, 예: Akita).
  • 알레르기성 결막염.
  • 면역 매개성 포도막염.

3. 외상 및 이물

  • 외부 이물 (풀씨, 먼지 등).
  • 외상성 각막 손상.
  • 안구 타박 또는 관통 부상.

4. 구조적 이상 및 유전적 요인

  • Entropion (속눈썹 내반증).
  • Distichiasis (속눈썹 이중 증식).
  • Ectopic cilia (이소 속눈썹).

5. 안구의 압력 및 혈류 이상

  • 녹내장: 안압 상승.
  • 포도막염: 저안압 동반 가능.
  • 안와 종양: 구조적 압박으로 인해 눈의 이상.

6. 건조 및 자극

  • Keratoconjunctivitis sicca (KCS): 눈물 부족.
  • 자극성 물질 노출: 화학물질, 연기, 먼지.

7. 대사 및 전신 질환

  • 고혈압으로 인한 안구 내 출혈.
  • 당뇨병성 망막증.

8. 신경학적 요인

  • Horner’s Syndrome: 동공 축소, 안구 함몰, 눈꺼풀 처짐.
  • 삼차 신경 손상: 안구 불편감과 반사적 찡그림.

9. 기타 원인

  • 스트레스 또는 통증에 의한 반응.
  • 특정 약물의 부작용 (예: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장기 사용).

이와 같은 증상을 보일 경우, 추가적인 진단(예: 안압 측정, 플루오레신 염색 검사)이 필요하며, 신속히 수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