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의 승모판륜 이탈(Mitral Annular Disjunction, MAD)
개와 고양이의 승모판륜 이탈(Mitral Annular Disjunction, MAD): 임상 수의사를 위한 종합적 고찰
I. 서론: 수의 심장학의 새로운 인식 대상
승모판륜 이탈(Mitral Annular Disjunction, MAD)은 최근 인간 심장학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구조적 이상으로, 특히 개의 가장 흔한 심장 질환인 점액종성 승모판막 질환(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MMVD)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수의학 분야에서도 지대한 관심을 요구하는 질환이다. 본 보고서는 임상 수의사를 대상으로, 인간 의학 분야에서 축적된 방대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MAD의 정의, 병태생리학, 진단법 및 치료 전략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개와 고양이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1.1. 승모판륜 이탈(MAD)의 정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이상
MAD의 핵심 정의는 심장 수축기 동안 후방 승모판막 소엽(posterior mitral valve leaflet)의 경첩(hinge point)이 부착되는 좌심방벽과 좌심실 심근(left ventricular myocardium)의 정상적인 연속성이 소실되어 뚜렷하고 측정 가능한 분리, 즉 '이탈'이 발생하는 구조적 이상이다.1 이는 판막 소엽 자체의 질환이 아니라 판막을 지지하는 판륜(annulus)의 기반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해부학적으로 정상적인 후방 승모판륜은 좌심실 심근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C자 형태의 섬유-근육 구조물이다.5 그러나 MAD가 있는 심장에서는 이 연속성이 상실되어 판막 경첩과 심실벽 사이에 틈(gap)이 발생하며, 이 분리는 심실 수축기에 가장 두드러지게 관찰된다.4
역사적으로 MAD는 1980년대 인간 병리학 문헌에서 처음 기술되었으며, 초기에는 임상적 의미가 적은 양성 변이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이후 악성 심실성 부정맥(ventricular arrhythmia) 및 심장 돌연사(sudden cardiac death, SCD)와의 강력한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임상적 중요성이 재조명되었다.7
1.2. 임상적 맥락: 부정맥 유발성 승모판 탈출증(AMVP)과 점액종성 승모판막 질환(MMVD)
인간 의학에서 MAD는 '부정맥 유발성 승모판 탈출증(Arrhythmogenic Mitral Valve Prolapse, AMVP)' 증후군의 핵심 특징 중 하나로 인식된다. 이 증후군은 승모판 역류(mitral regurgitation, MR)의 중증도와 무관하게 심실성 부정맥 및 SCD의 위험이 높은 특정 MVP 환자군을 지칭한다.7
수의학, 특히 개에서는 점액종성 승모판막 질환(MMVD)이 가장 흔한 후천성 심장 질환이다. MMVD는 판막 소엽의 점액종성 변성으로 인해 MVP와 진행성 MR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조직병리학적으로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및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의 축적과 콜라겐으로 구성된 섬유층(fibrosa layer)의 약화가 특징이다.19
이 두 패러다임의 접점은 인간의 점액종성 판막 질환(종종 Barlow's disease로 불림) 환자에서 MAD의 유병률이 50% 이상으로 매우 높게 보고된다는 사실에 있다.20 이는 조직병리학적으로 유사한 개의 MMVD에서도 MAD가 상당수 존재할 것이라는 강력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한다.
1.3. 수의학 분야의 현주소: 중대한 지식의 공백
현재까지 수의학 문헌에는 MMVD와 MVP를 동반한 치와와에서 MAD를 진단한 단 한 건의 증례 보고만이 존재한다.1 이 중요한 보고는 개에서 MAD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증명한 최초의 증거이며, 높은 MMVD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이 질환이 간과되어 왔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 반면, 고양이에서는 아직 MAD에 대한 보고가 전무하다. 고양이의 주요 승모판 질환은 비대성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관련 변화나 선천성 판막 이형성증(dysplasia) 등으로, 개의 MMVD와는 병태생리가 달라 직접적인 유추가 어렵다.22
이러한 지식의 공백에도 불구하고, 개에서 MMVD의 높은 유병률, 인간에서 입증된 MAD의 부정맥 유발 잠재력, 그리고 첫 번째 개 증례의 확인은 임상 수의사들이 이 질환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평가해야 할 임상적 시급성을 부여한다. "중증 MMVD와 동반된 원인 불명의 심실성 부정맥 또는 실신"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상당수가 실제로는 진단되지 않은 MAD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단순한 진단명의 변경을 넘어 예후 평가, 위험도 계층화, 그리고 향후 치료 전략 수립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이는 MAD가 개에서 드문 질환이 아니라, 실제로는 매우 흔하지만 인지되지 못하고 있는 "숨겨진 유행병(hidden epidemic)"일 수 있다는 가설로 이어진다. 수많은 MMVD 환자의 심장초음파 영상에서 우리는 매일 MAD를 보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
표 1: 승모판륜 이탈(MAD)의 핵심 특징 요약
특징 | 설명 | 관련 문헌 |
정의 | 심장 수축기 시 후방 승모판륜과 좌심실 심근 사이의 해부학적 분리 및 이탈 | 2 |
주요 발생 위치 | 후방 승모판륜, 특히 P1 및 P2 소엽 하부 | 2 |
핵심 연관 질환 | 점액종성 승모판막 질환(MMVD) / 승모판 탈출증(MVP) | 9 |
주요 임상적 의의 | 악성 심실성 부정맥 및 심장 돌연사의 기질(substrate) 제공 | 3 |
최적의 영상 진단법 | 선별: 심장초음파 (특히 우측 흉골 장축 단면도) 확진 및 섬유화 평가: 심장 자기공명영상 (CMR) |
4 |
II. 병태생리학 및 발병기전: 구조와 부정맥의 연결고리
이 장에서는 MAD가 어떻게 그리고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그 구조적 이상이 어떻게 임상 질환, 특히 치명적인 부정맥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생체역학적, 전기생리학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2.1. 생체역학적 결과: 심실-판륜 탈동조화(Ventriculo-Annular Decoupling)
정상적인 승모판륜은 심장 수축기 초기에 수축하고 안장 모양(saddle shape)을 유지하여 판막 소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그 움직임은 좌심실 수축과 긴밀하게 동조(coupling)된다.27 MAD는 이러한 판륜과 심실의 기능적 연결을 끊어버리는 "탈동조화(decoupling)"를 유발한다.28 이로 인해 정상적인 수축기 수축 및 안장 모양 심화 기능이 소실되고, 대신 이탈된 판륜은 심실과 무관하게 좌심방의 움직임을 따라 수축기에 역설적으로 확장되고 편평해진다.21 이러한 비정상적인 움직임은 승모판 장치 전체, 즉 판막 소엽, 건삭(chordae tendineae), 그리고 결정적으로 유두근(papillary muscles)에 과도한 기계적 스트레스와 견인력을 가하게 된다.2
2.2.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MAD가 MMVD를 유발하는가?
이 논쟁은 MAD와 MMVD의 인과 관계에 대한 것으로, 임상적 의미를 내포한다. "MAD 우선" 가설은 MAD가 선천적 또는 발달상의 이상으로 먼저 존재하며, 이로 인한 지속적인 기계적 스트레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판막 소엽의 점액종성 변성을 촉진하여 이차적으로 MVP/MMVD를 유발한다고 주장한다.10 MVP가 없는 젊은 환자에서 MAD가 발견된다는 사실이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11
반면, "MMVD 우선" 또는 "동반 발생" 가설은 MAD가 점액종성 판막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결합조직 질환의 또 다른 발현이거나 그 결과물일 뿐이라고 본다.9 이 논쟁은 단순히 학문적인 호기심에 그치지 않는다. 만약 MAD가 MMVD에 선행한다면, 카발리어 킹 찰스 스패니얼(Cavalier King Charles Spaniel)과 같은 고위험 품종의 어린 개에서 MAD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미래의 중증 판막 질환을 예측하는 매우 중요한 표지자가 될 수 있다.
2.3. 부정맥 발생 기질: 신장(Stretch)에서 흉터(Scar)까지
MAD 관련 부정맥 발생의 핵심 기전은 이탈되고 과도하게 움직이는 판륜이 유두근과 인접 좌심실 기저부 심근에 가하는 만성적인 기계적 신장(mechanical stretch)이라는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2 이 지속적인 기계적 스트레스는 미세 손상을 유발하고, 결국 유두근과 인접 심실벽에 대체 섬유화(replacement fibrosis)를 초래한다.9 인간의 심장 MRI에서 후기 가돌리늄 조영증강(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으로 확인되는 이 섬유화는 불균일하고 흉터화된 전기적 기질을 형성하여 회귀성(re-entrant) 부정맥 발생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9
또한, 유두근에는 퍼킨제 섬유(Purkinje fibers)가 풍부하게 분포하는데, 지속적인 신장과 섬유화는 이 섬유들로부터 비정상적인 자동능(abnormal automaticity)이나 유발 활성(triggered activity)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MAD와 관련된 심실성 부정맥이 왜 종종 국소적인 기원을 갖는지를 설명해준다.33 결국 MAD의 병태생리는 '기계적 스트레스 → 심근 섬유화 → 전기적 불안정성'이라는 연쇄 반응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개의 MMVD 치료가 주로 겨냥하는 혈역학적 부하와는 다른, 근본적인 문제점을 제시한다.
2.4. 유전적 기반: 공유된 경로의 가능성
인간에서 비증후군성 MVP와 MAD는 강력한 유전적 소인을 보인다. DCHS1, FLNA, DZIP1과 같은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점액종성 MVP에서 확인되었으며 37, 특히
DCHS1 유전자 변이는 가족성 MAD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9 이 유전자들은 세포 극성(cell polarity) 및 기계적 신호 전달(mechanotransduction)에 관여하여, 기계적 스트레스가 핵심인 MAD의 병태생리와 완벽하게 부합한다.
개에서도 MMVD는 카발리어 킹 찰스 스패니얼(CKCS)과 같은 특정 품종에서 높은 유전성을 보인다.40 CKCS에서는 근절(sarcomere) 구조와 기계적 감지에 관여하는
NEBL(Nebulette) 유전자의 변이가 MMVD 중증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1 비록 현재까지 밝혀진 특정 유전자는 다르지만, 두 종에서 관련 유전자들이 관여하는 생물학적 경로(기계적 감지, 세포골격 통합성)는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이는 두 종 모두에서 기계적 스트레스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공유된 유전적 소인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III. 진단적 접근: 임상 수의사를 위한 지침
이 장은 임상가들이 실제 진료 현장에서 MAD를 식별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도구와 지식을 제공하는 본 보고서의 핵심이다.
3.1. 심장초음파 평가: 일차적 진단 도구
심장초음파는 MAD를 진단하는 가장 중요하고 실용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특정 영상 기법과 세심한 관찰이 요구된다.
3.1.1. 표준 2차원 심장초음파: "How-To" 가이드
- 핵심 단면도(Key View): 우측 흉골 장축 단면도(Right Parasternal Long-Axis, PLAX) 4-chamber 및 5-chamber view가 가장 중요하다. 이탈은 전형적으로 후방(벽측) 소엽(posterior/mural leaflet)의 기저부에서 관찰된다.4
- 시점의 중요성: MAD는 수축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판막 경첩과 심실 심근 사이의 분리는 좌심실이 가장 작아지는 수축기말(end-systole)에 최대로 나타나므로, 측정은 반드시 이 시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 틈은 이완기에는 종종 사라지거나 미미해진다.4
- 측정 기법: 측정은 좌심방벽에 부착된 후방 소엽의 삽입 지점에서부터 좌심실 심근의 꼭대기(crest)까지 수직으로 내린 직선 거리로 정의된다.4 이탈 거리를 측정할 때는 심장 주기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네 루프(cine loop)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3.1.2. 제안된 진단 기준과 체중의 문제
- 인간의 기준: 인간에서는 이탈 거리가 5 mm 이상일 때 진단적 기준으로 사용되며 11, 일부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부정맥을 예측하기 위해 8.5 mm 이상의 더 높은 기준치를 제시하기도 한다.20
- 수의학적 딜레마: 5 mm의 틈은 3 kg 요크셔테리어에게는 매우 심각한 소견이지만, 60 kg 마스티프에게는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절대값을 수의학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지수화(Indexing)의 필요성: 본 보고서는 ACVIM 가이드라인에서 좌심실 내경(LVIDDN)이나 좌심방 크기(LA:Ao)를 체중에 따라 정상화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MAD 측정값 또한 체중에 따라 지수화할 것을 강력히 제안한다.44 이미 다른 승모판 및 판륜 측정치에 대해 개에서 이체변화성장 측정법(allometric scaling)을 적용한 연구들이 선례를 제공한다.46 검증된 공식이 확립되기 전까지는 "환자의 체구를 고려할 때 명백하고 의심의 여지가 없는 분리"와 같은 정성적 평가가 필요하다.
3.1.3. 연관된 동적 심장초음파 소견
- 역설적 판륜 운동(Paradoxical Annular Motion): 수축기에 판륜이 수축하는 대신 확장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단서이다.29
- "피켈하우베(Pickelhaube)" 징후: 조직 도플러 영상에서 외측 판륜의 수축기 속도가 16 cm/s 이상으로 뾰족하게 나타나는 소견으로, MAD와 관련된 과도한 운동성을 시사하는 강력한 지표이다. 비록 특이적이지는 않지만, MAD의 기계적 기능 장애를 뒷받침한다.2
- 동반 질환 평가: 심장초음파 검사는 반드시 MMVD(판막 소엽 비후, 탈출, 건삭 신장/파열)에 대한 완전한 평가와 ACVIM 가이드라인에 따른 MR 및 심장 리모델링(좌심방/좌심실 확장)의 정량화를 포함해야 한다.44 3D 심장초음파가 가능하다면, MMVD 환자에서 판륜이 정상적인 안장 모양을 잃고 더 원형에 가깝고 편평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50
3.2. 첨단 영상 진단법: 인간 의학의 표준
일반적인 동물병원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않지만, 첨단 영상 진단법이 제공하는 정보는 질병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므로 임상가들이 그 개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 심장 자기공명영상(Cardiac MRI, CMR): 인간에서는 표준 진단법(gold standard)으로 간주된다. CMR은 판륜 전체 둘레를 시각화하고, 미세한 MAD를 발견할 수 있는 뛰어난 공간 해상도를 제공하며, 가장 중요하게는 후기 가돌리늄 조영증강(LGE)을 통해 심근 및 유두근의 섬유화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5
-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Cardiac CT, CCT): 역시 뛰어난 3D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며, 경흉부 심장초음파(TTE)보다 더 높은 유병률로 MAD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5
3.3. 심전도(ECG) 및 홀터 모니터링
- 특징적인 심전도 소견(인간 연구 기반): 하벽 또는 측벽 유도(inferior or lateral leads)의 T파 역위(T-wave inversion)는 MAD 및 부정맥 유발성 MVP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13
- 심실성 부정맥의 형태: 심실 조기 수축(Ventricular Premature Complexes, VPCs) 또는 비지속성 심실 빈맥(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nsVT)은 종종 우각차단(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 형태와 함께 상향/좌측 축(superior/leftward axis)을 보이는데, 이는 후내측 유두근(posteromedial papillary muscle) 기원을 시사하는 특징적인 소견이다.35 12유도 또는 6유도 심전도에서 이러한 특정 형태를 확인하면 유두근 기원에 대한 의심을 높일 수 있다.
- 홀터 모니터링: 부정맥의 부담(VPCs/VT의 빈도 및 복잡성)을 정량화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위험도 계층화의 핵심 요소이다.9
진단 과정에서 관찰자 간 변동성(inter-observer variability)은 중요한 도전 과제이다. MAD 측정은 미세한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캘리퍼 배치를 요구하며, 특히 TTE에서는 더욱 그렇다.9 인간 연구에서도 CMR/CT의 우월성이 인정되고 있다.51 환자의 협조도가 낮은 수의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변동성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는 표준화된 영상 프로토콜과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명확하고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경우에만 '확진'을 내리고, 경계선상의 소견은 더 나은 기준이 확립될 때까지 'MAD 의심'과 같이 기술적으로 보고해야 함을 시사한다.
표 2: 개와 고양이에서 MAD 평가를 위한 실용적인 심장초음파 프로토콜
단계 | 수행 내용 | 핵심 사항 |
1. 환자 선택 | 고위험군 환자 선별 (예: 실신/부정맥을 동반한 MMVD, 중증 MR을 가진 소형견) | 높은 의심 지수(high index of suspicion)가 진단의 첫걸음 |
2. 핵심 단면도 확보 | 우측 흉골 장축(PLAX) 단면도를 최적화하여 선명한 영상을 얻는다. | 후방 판륜과 좌심실벽의 경계가 명확히 보여야 함 |
3. 주요 구조물 식별 | 좌심방벽, 후방 소엽 경첩, 좌심실 심근 꼭대기를 명확히 구분한다. |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 |
4. 수축기 평가 | 심장 주기를 천천히 재생하며 수축기말(end-systole)에 영상을 정지시킨다. | MAD는 동적(dynamic) 소견이므로 수축기에만 뚜렷하게 나타남 |
5. '틈' 확인 | 방실 접합부(atrioventricular junction)를 따라가며 눈에 띄는 분리가 있는지 면밀히 살핀다. | 게인(gain)과 심도(depth)를 조절하여 인공물(artifact)과 구분 |
6. 측정 | 틈이 존재하면, 소엽 경첩에서 심근 꼭대기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한다. | 측정의 일관성을 위해 여러 심장 주기에서 반복 측정 |
7. 기록 | 측정값이 포함된/포함되지 않은 시네 루프와 정지 영상을 모두 저장한다. 역설적 판륜 운동 유무를 기록한다. | 객관적인 기록은 추적 검사 및 타 병원 의뢰 시 중요 |
8. 상관관계 분석 | MAD 소견을 부정맥의 존재, MMVD의 중증도와 연관 지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MAD는 단독 소견이 아닌, 질병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함 |
IV. 개에서의 승모판륜 이탈
이 장에서는 현재까지의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개에서 나타나는 MAD의 임상상을 구체적으로 구성한다.
4.1. 높은 유병률의 배경: 개의 점액종성 승모판막 질환(MMVD)
MMVD는 개에서 가장 흔한 심장 질환으로, 전체 심장병의 약 75%를 차지한다.40 특히 카발리어 킹 찰스 스패니얼, 닥스훈트, 치와와 같은 소형견 및 토이 품종에서 강한 품종 소인을 보인다.19 이는 MAD가 숨어 있을 수 있는 거대한 잠재적 환자군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4.2. 최초 보고된 개 증례의 분석
2024년 Pereira에 의해 보고된 증례는 MAD, MMVD, MVP를 함께 가진 치와와에 대한 것이다.1 품종 선택 자체가 MMVD의 중증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보고는 높은 MMVD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수의학에서 MAD가 이전까지 기술되지 않았음을 명시하며, 사실상 수의학계에 경종을 울린 "개념 증명(proof of concept)" 역할을 한다.1 저자들은 인간의 진단 기준을 개에 맞게 조정하여 평가하였다. 이 증례는 단순한 일화가 아니라, 개의 MMVD를 평가하는 방식에 패러다임 전환을 촉발해야 할 "감시 사건(sentinel event)"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4.3. 유병률과 소인: 미지의 영역
앞서 제기된 "숨겨진 유행병" 가설에 근거할 때, 개의 MMVD 환자에서 MAD의 실제 유병률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사한 인간 환자군에서 보고되는 30-50%의 유병률과 비슷할 수 있다.20 가장 위험이 높은 개체군은 인간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게, 진행된 양엽성(bileaflet) 점액종성 질환(Barlow's-like phenotype)을 가진 소형견일 가능성이 높다.21
4.4. 개의 MMVD에서 심실성 부정맥의 재평가
심실성 부정맥은 진행된 MMVD를 가진 개에서 잘 알려진 합병증이자 부정적인 예후 인자이다.60 역사적으로 이러한 부정맥은 용적 과부하로 인한 심근 신장이나 허혈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본 보고서는 진단되지 않은 MAD가 이러한 부정맥의
주요 원인일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는 "심근 자극"이라는 모호한 개념보다 더 구체적이고 기계적으로 타당한 설명을 제공한다. 왜 비슷한 수준의 MR을 가진 MMVD 환자 중 일부만이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보이는지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전임상 단계의 MMVD 개(ACVIM Stage B1 vs B2)를 비교한 한 연구에서는 심장 비대만으로는 부정맥 소인이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는데, 이는 더 진행된 부정맥성 환자에서는 MAD와 같은 다른 요인이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61
이러한 상황은 수의학 연구 커뮤니티에 대한 직접적이고 실행 가능한 요구로 이어진다. 즉, 수의 심장학 전문병원 및 대학 부속 동물병원이 보유한 방대한 MMVD 환자의 심장초음파 기록 보관소를 활용한 대규모 후향적 연구가 시급하다. 특히 부정맥이나 돌연사 기록이 있는 환자들의 PLAX 단면도를 재검토함으로써, 우리는 신속하게 MAD의 예비 유병률을 확립하고 위험 인자를 식별할 수 있다.
V. 고양이에서의 승모판륜 이탈: 이론적 영역
이 장에서는 고양이와 관련된 질의에 답하며, 직접적인 증거의 부재를 인정하고 고양이 특이적인 심장 병리에 기반한 이론적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
5.1. 증거의 부재 vs 부재의 증거
먼저, 제공된 문헌들 내에서 고양이의 MAD에 대한 보고는 발견되지 않았음을 명확히 해야 한다.12 이는 MAD가 고양이에게
존재하지 않는다는 증거가 아니라, 단지 아직 기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중요한 차이이다.
5.2. 고양이 승모판: 다른 질병 환경
개의 일차적인 퇴행성 질환과 달리, 고양이의 승모판 이상은 대부분 다른 일차적인 심근 질환에 이차적으로 발생하거나 연관된다.
- 비대성 심근병증(HCM):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심근병증으로 22, 승모판의 전방 수축기 운동(Systolic Anterior Motion, SAM), 판막 소엽 비후, 때로는 신장된 소엽 등이 특징이며, 이는 좌심실 유출로 폐색과 MR의 원인이 된다.70 근본적인 병리는 일차적인 점액종성 변성이 아닌 심근 비대이다.73
- 선천성 승모판 이형성증(Congenital Mitral Valve Dysplasia): 고양이에서 MR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덜 흔하며, 기형적인 소엽, 건삭, 유두근이 특징이다.24
- 고양이의 승모판륜 운동: HCM이 있는 고양이의 승모판륜 평면 수축기 변위(Mitral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MAPSE)에 대한 연구들은 MAPSE가 감소하여 종축 수축 기능 장애를 시사한다고 보고했지만, 이탈(disjunction)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았다.62
5.3. 고양이에서 MAD가 존재할 수 있는가? 가설적 고찰
이 부분은 병태생리학에 근거한 추론적인 논의가 될 것이다.
- 시나리오 1: 원발성 승모판 이형성증. 중증의 선천성 승모판 이형성증이 비정상적인 판륜 부착을 포함하여 MAD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 시나리오 2: 중증 HCM. 가능성은 낮지만, 말기 HCM에서 극심한 좌심실 및 판륜의 기하학적 왜곡이 기능적인 이탈을 초래할 수도 있다.
- 임상적 단서: SAM이나 HCM의 중증도에 비해 MR이 불균형적으로 심하거나, 원인 불명의 국소적 심실성 부정맥이 있는 고양이에서는 후방 판륜에서 MAD를 주의 깊게 찾아볼 가치가 있을 수 있다.
고양이에서 임상가들은 MAD를 일차 감별 진단 목록에 올리기보다는 HCM 및 기타 알려진 심근병증의 진단과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 그러나 부정맥이나 돌연사의 원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MAD의 이론적 가능성을 인지하고, 특히 상세한 병리학적 검사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연구에서 잠재적인 교란 변수(confounder)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VI. 관리 및 치료 전략: 증거 기반의 추론적 접근
이 장에서는 알려진 사실과 추론된 내용을 명확히 구분하여 실행 가능한 임상 조언을 제공한다.
6.1. 악성 부정맥 및 돌연사에 대한 위험도 계층화
인간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의 MAD 환자에 대한 위험도 계층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할 수 있다.9
- 고위험 특징:
- 임상적: 실신 또는 전실신(pre-syncope) 병력.
- 심장초음파: 유의미한 MAD의 존재(정성적으로 크거나, 인간 기준 >8.5 mm), 중증/양엽성 MVP(Barlow's-like), 좌심실 수축 기능 저하.
- 부정맥: 홀터 모니터상 높은 부담 또는 복잡성의 심실성 기외수축(nsVT), 유두근 기원 형태의 VPCs.
인간에서는 CMR을 통한 LGE 확인이 핵심 위험 인자이지만 9, 대부분의 수의 임상 환경에서는 실용적이지 않다. 따라서 다른 임상, 심장초음파, 홀터 소견들이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더욱 중요한 대리 지표가 된다.
표 3: MAD 환자에서 심실성 부정맥에 대한 위험도 계층화 인자 (인간 데이터 기반)
위험 인자 범주 | 특정 인자 | 위험 수준 (추정) | 관련 문헌 |
임상적 | 실신(Syncope) 또는 전실신(Pre-syncope) 병력 | 높음 | 13 |
심장 돌연사 가족력 (인간) | 높음 | 75 | |
심장초음파 | MAD 이탈 거리 > 8.5 mm (인간 기준) | 높음 | 20 |
양엽성(Bileaflet) 또는 심한 점액종성 MVP (Barlow's-like) | 중간-높음 | 21 | |
좌심실 수축 기능 저하 (LVEF<50%) | 높음 | 53 | |
ECG / 홀터 | 비지속성 심실 빈맥 (nsVT) | 높음 | 13 |
잦은/복잡한 심실 조기 수축 (VPCs) | 중간-높음 | 9 | |
하벽/측벽 유도의 T파 역위 | 중간 | 13 | |
유두근 기원 형태의 VPCs (RBBB, 상향축) | 중간 | 54 |
6.2. 연관된 부정맥의 내과적 관리
- 표준 항부정맥제: 베타 차단제(예: 아테놀롤, 소탈롤)와 나트륨 채널 차단제(예: 멕실레틴)가 논리적인 일차 선택 약물이다.
- 소탈롤과 멕실레틴의 기전적 조합:
- 소탈롤(Class III)은 활동 전위 기간(action potential duration)과 불응기(refractoriness)를 연장시킨다.78
- 멕실레틴(Class IB)은 경구용 리도카인 유사체로, 특히 허혈성/탈분극된 조직과 빠른 심박수에서 효과적으로 나트륨 채널을 차단한다(사용 의존성, use-dependence).80
- 돼지의 유두근을 이용한 in-vitro 연구에서 소탈롤과 멕실레틴을 병용했을 때 불응기를 더욱 연장시키는 복합적이고 상가적인 효과가 나타났다.78 이는 중증의 불응성 부정맥 환자에서 병용 요법을 고려할 수 있는 약리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 피모벤단: MMVD 관련 심부전의 표준 치료제이지만, 부정맥에 대한 효과는 논란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부정맥을 증가시키지 않는다고 보고했지만 82, 일차적인 항부정맥제로 선택하기보다는 수축력 보조 및 후부하 감소의 역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83
6.3. 중재적 및 외과적 관리
-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 인간에서는 유두근에서 기원하는 심실성 부정맥에 대해 인정된 치료법이지만, 기술적으로 어렵다.35 현재 수의학에서는 널리 시행되지 않지만, 미래의 잠재적인 치료 방향으로 알아둘 필요가 있다.
- 외과적 승모판 성형술(Mitral Valve Repair):
- 수술 기법: 개심술을 통한 승모판 성형술은 개에서 점차 시행 빈도가 늘고 있으며, 판륜 성형술(annuloplasty)과 인공 건삭 재건술(artificial chordal replacement) 등의 기법을 포함한다.86
- MAD의 해부학적 교정: 판륜 성형술 링을 사용하여 판륜을 심실 심근에 다시 봉합함으로써 MAD를 해부학적으로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21
- 부정맥-수술의 역설: 여기서 강조해야 할 매우 중요한 점은, 인간 연구에서 MAD의 해부학적 구조가 성공적으로 교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부정맥 발생 위험이 지속된다는 사실이다.31 이는 이미 형성된 비가역적인 섬유화 기질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수술이 부정맥 발생 가능성을 "완치"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는 고비용의 수술을 고려하는 보호자와의 상담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 사항이다.
표 4: MAD 관련 합병증에 대한 치료 옵션 요약
임상 문제 | 치료 방식 | 구체적 옵션 | 주요 고려사항 / 증거 수준 |
심실성 부정맥 | 내과적 | 소탈롤, 멕실레틴, 아미오다론, 병용 요법 | 고위험군 환자에서 고려. 대부분 인간 데이터에서 추론. 79 |
중재적/외과적 | 전극도자 절제술 | 인간에서는 시행되나 수의학에서는 연구 단계. 84 | |
승모판 성형술 | 해부학적 교정은 가능하나, 부정맥 위험은 잔존할 수 있음. 31 | ||
울혈성 심부전 | 내과적 | 피모벤단, 이뇨제(푸로세미드, 토르세미드), ACE 억제제, 스피로노락톤 | 개의 MMVD에서 표준 치료법(Standard of Care). ACVIM 가이드라인 준수. 44 |
외과적 | 승모판 성형술 | 혈역학적 개선을 통해 심부전 증상 완화. 86 |
6.4. 제안된 MAD 환자 관리 알고리즘
MAD가 의심되는 수의 환자에 대한 관리 흐름도를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 의심(Suspicion): MMVD 환자에서 원인 불명의 실신, 전실신, 운동 불내성, 또는 심실성 부정맥 발견.
- 진단(Diagnosis):
- 우측 흉골 장축 단면도에서 수축기말에 후방 판륜과 좌심실벽 사이의 명확한 분리 확인.
- 홀터 모니터링으로 부정맥 부담 및 형태 평가.
- 위험도 계층화(Risk Stratification) (표 3 참조):
- 저위험군: 무증상, 경미한 MAD, 복잡하지 않은 VPCs.
- 고위험군: 실신 병력, 심한 MAD, nsVT, 좌심실 기능 저하.
- 치료 결정(Treatment Decision):
- 부정맥 관리:
- 저위험군: 정기적인 모니터링.
- 고위험군/증상 발현 시: 항부정맥제(소탈롤, 멕실레틴 등) 투여 시작.
- 심부전 관리 (ACVIM 가이드라인 기반):
- Stage B2 (심장 리모델링): 피모벤단 고려.
- Stage C/D (울혈성 심부전): 이뇨제, 피모벤단, ACE 억제제 등 표준 치료.
- 외과적 치료 고려:
- 진행된 심부전(Stage C/D) 또는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중증 MR 환자에서 승모판 성형술 고려.
- 수술 전 보호자에게 부정맥 위험은 수술 후에도 지속될 수 있음을 충분히 설명.
- 추적 관찰(Follow-up): 모든 환자에서 정기적인 심장초음파 및 홀터 모니터링을 통해 질병 진행 및 치료 반응 평가.
VII. 결론 및 향후 방향
MAD는 개의 점액종성 승모판막 질환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중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한다. 이는 더 이상 MR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심장 크기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질병을 완전히 이해하고 위험도를 계층화하기 위해 판륜 자체의 구조적 통합성을 적극적으로 평가해야 함을 의미한다. MAD는 개의 MMVD에서 실제 존재하며, 아마도 상당수 진단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다. 이는 강력한 부정맥 유발 기질로 작용하며, 진단을 위해서는 높은 의심 지수와 특정 심장초음파 단면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관리 전략은 혈역학적 문제와 부정맥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다루어야 하며, 외과적 교정이 해부학적 구조는 복원할 수 있으나 부정맥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수의학계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향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유병률 연구: 개의 MMVD 환자군에서 MAD의 실제 유병률을 확립하기 위한 대규모 전향적 또는 후향적 연구가 시급하다.
- 진단 기준 확립: 다양한 체구의 개에 적용할 수 있는 체중-지수화된 심장초음파 진단 기준을 개발하고 검증해야 한다.
- 자연사 연구: MAD가 있는 개와 없는 개의 장기적인 자연 경과를 비교하여 예후 인자를 규명해야 한다.
- 치료 효과 평가: MAD가 있는 특정 환자군에서 항부정맥제의 효과 및 외과적 판막 성형술의 장기적인 부정맥 관련 예후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MAD에 대한 지식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이는 수의 심장학 분야에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를 제공한다. 임상가들의 높아진 인식과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이 복잡하고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 나은 예후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 Mitral annular disjunction and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in a dog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7989026/
- Mitral Annular Disjunction: Pathophysiology, Pro-Arrhythmic Profile and Repair Pearls,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273801/
- Mitral Annular Disjunction: Pathophysiology, Pro-Arrhythmic Profile and Repair Pearls,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9076236/
- Echocardiographic Assessment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With Cross-Correlation b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 Society of Diagnostic Medical Sonography,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sdms.org/docs/default-source/jdmspdf/echocardiographic-assessment-of-mitral-annular-disjunction.pdf?sfvrsn=2
- Mitral annular disjunction: A case seri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Frontiers,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cardiovascular-medicine/articles/10.3389/fcvm.2022.976066/pdf
- Mitral annulus disjunction in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Where is the boundary between normality and disease?,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334631/
- Mitral Annular Disjunction: Clinical Implications and Surgical Consideration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8187510/
- The assessment of mitral valve disease: a guideline from the British Society of Echocardiography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495880/
- Mitral annular disjunction: A case seri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411994/
-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with Mitral Valve Prolapse and Mitral Annular Disjunction: Clinical and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Coincidenc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911536/
- Mitral Annular Disjunction: Review of an Increasingly Recognized Mitral Valve Entity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163248/
-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the Context of Mitral Valve Prolapse ...,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8703174/
-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he Arrhythmogenic Mitral Valve Prolapse Syndrome and Sudden Cardiac Arrest and Sustained Ventricular Arrhythmia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9973752
- Arrhythmogenic Mitral Valve Prolaps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5990107/
- Arrhythmic Mitral Valve Prolapse and Sports Activity: Pathophysiology, Risk Stratification, and Sports Eligibility Assessment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8592178/
- Arrhythmogenic Mitral Valve Prolaps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376835/
- Arrhythmic Mitral Valve Prolapse and Mitral Annular Disjunction: Clinical Features, Pathophysiology, Risk 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5200714/
- Arrhythmic mitral valve prolapse and mitral annular disjunction: pathophysiology, risk 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7561995/
- Pathology of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in the dog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2386587/
- Mitral annular disjunc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1385360/
- Mitral Annular Disjunction: Clinical Implications and Surgical Considerations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69617/
-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n cats—It used to be so simpl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22216/
- The Feline Cardiomyopathies: 2.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4693811/
- Cardiomyopathy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158345/
- [Mitral valve dysplasia in a cat causing reversibl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and dynamic outflow tract obstruction]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1614848/
- Mitral Annular Disjunction-A New Disease Spectrum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3894942/
- 3D echocardiography in mitral valve prolapse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871497/
- Mitral annular dynamics in myxomatous valve disease: new insights with real-time 3-dimensional echocardiograp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0231533/
- Functional Implication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Mitral Valve Prolapse: A Quantitative Dynamic 3D Echocardiographic Stud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8528161/
-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a relevant abnormality recognizable b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1143934/
- Mitral annular disjunction and mitral valve prolapse: long-term risk of ventricular arrhythmias after surgery | European Heart Journal | Oxford Academi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academic.oup.com/eurheartj/advance-article/doi/10.1093/eurheartj/ehaf195/8111482
- Unraveling Mitral Annular Disjunction: A Case Report of Ventricular Arrhythmia Detected via Smartwatch - MDPI,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571-841X/8/2/94
- Arrhythmic Mitral Valve Prolapse and Mitral Annular Disjunction: Clinical Features, Pathophysiology, Risk 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879620/
- Arrhythmic mitral valve prolapse in 2023: Evidence-based updat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153002/
- Papillary Muscle Ventricular Tachycardia or Ectopy: Diagnostics, Catheter Ablation and the Role of Intracardiac Echocardiography,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434512/
- Ventricular arrhythmias originating from a papillary muscle in patients without prior infarction: a comparison with fascicular arrhythmia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18984528/
- Genetics and pathophysiology of mitral valve prolapse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978496/
- Genetics of syndromic and non-syndromic mitral valve prolaps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168077/
- Mutation in mitral valve prolapse susceptible gene DCHS1 causes familial mitral annular disjunction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7399314/
-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in dogs: Does size matter?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307894/
- Genetic Variants at the Nebulette Locus Are Associated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Severity in Cavalier King Charles Spaniel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6553559/
- How to assess mitral valve prolapse and mitral annular disjunction, how to look for arrhythmogenic features -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escardio.org/Councils/Council-on-Cardiovascular-Genomics/Cardiovascular-Genomics-Insight/Volume-7/how-to-assess-mitral-valve-prolapse-and-mitral-annular-disjunction-how-to-look
- Mitral annular disjunction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 Radiopaedia.org,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radiopaedia.org/articles/mitral-annular-disjunction-1
- ACVIM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IN DOGS - Vet Buddy Expert,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vetbuddyexpert.com/ClinicResources/ACVIM_Consensus_Statement_Infografic_updated.pdf
- ACVIM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in dogs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524084/
- Echocardiographic evaluation of deformity and enlargement of the canine mitral valve annulus associated with myxomatous degenerative mitral valve diseas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4507141/
- Echocardiographic anatomy of the mitral valve in healthy dogs and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6003902/
- Prevalence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patients with mitral valve prolapse and severe regurgitation | Request PDF - ResearchGate,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0242049_Prevalence_of_mitral_annular_disjunction_in_patients_with_mitral_valve_prolapse_and_severe_regurgitation
- Review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to Canine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 MDPI,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26610
- Mitral valve morphology assessed by three-dimensional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in healthy dogs and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8279678/
- The Prevalence, Pathophysiological Role and Determinants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Among Patients with Mitral Valve Prolapse: A Systematic Review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900609/
- Prevalence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patients with mitral valve prolapse and severe regurgitation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2221771/
-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and ventricular ectopy in mitral valve prolaps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8823669
- Ventricular Arrhythmia Originating from the Left Ventricular Papillary Muscles: Clinical Features and Technical Aspects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252730/
- Differentiation of papillary muscle from fascicular and mitral annular ventricular arrhythmia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structural heart diseas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5925230/
- Mitral Annular Disjunction Assessed Using CMR Imaging: Insights From the UK Biobank Population Study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640354/
- Clinical Severity Score System in Dogs with Degenerative Mitral Valve Diseas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895509/
- Definition, preval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different patient cohorts: A systematic review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5122307/
- The Prevalence, Pathophysiological Role and Determinants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Among Patients with Mitral Valve Prolapse: A Systematic Review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40094868/
- Polymorphism, coupling interval and prematurity index in dogs with degenerative mitral valve disease and ventricular arrhythmia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9536334/
- Study of the Arrhythmogenic Profile of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in Stages B1 and B2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511566/
- Mitral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and Tricuspid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8370313/
- Detection of congestive heart failure by mitral annular displacement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concordance between tissue Doppler imaging-derived tissue tracking and M-mod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4298446/
- Prognostic value of mitral annular systolic plane excursion and tricuspid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9754880/
- Valvular mitral stenosis in adult cats: knowledge gained from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workup of 18 case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40286346/
- A Mitral Annular Calcification–Related Calcified Amorphous Tumor in End-Stage Renal Disease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058222/
- Mitral Valve Prolapse With Mitral Annular Disjunction Causing Ventricular Tachycardia During a Stress Test: A Case Report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9109096/
- Prevalence and extent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structurally normal hearts: comprehensive 3D analysis using cardiac computed tomograp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3713105/
- Implications of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Patients Undergoing Transcatheter Edge-to-Edge Repair for Degenerative Mitral Regurgitation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8092492/
- Biomarker changes with systolic anterior motion of the mitral valve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2822105/
- Echocardiographic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geometry and the mitral valve apparatus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0185379/
- Biomarker changes with systolic anterior motion of the mitral valve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517492/
- The Feline Cardiomyopathies: 2.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642168/
- Accuracy of methods for diagnosing heart diseases in cats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311870/
- Inheritance of Imaging Parameters of Arrhythmic Risk in Mitral Valve Prolapse: A Pedigree Study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9764632/
- Genetic mechanisms underlying arrhythmogenic mitral valve prolapse: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s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513923/
- Outcomes in Patients With Mitral Annular Disjunction and an Implantable-Cardioverter Defibrillator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40098314/
- The cellular electropharmacology of mexiletine combined with sotalol in porcine papillary muscle and Purkinje fibre. I. Alteration of mexiletine-induced Vmax depression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177359/
- The cellular electropharmacology of mexiletine combined with sotalol in porcine papillary muscle and Purkinje fibre. II. Effects on action potential duration and refractorines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177360/
- Mexiletine - StatPearls - NCBI Bookshelf,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19045/
- Relevance of mexiletine in the era of evolving antiarrhythmic therapy of ventricular arrhythmias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108884/
- Effect of pimobendan on the incidence of arrhythmias in small breed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egeneration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6007710/
- Acute Effects of Pimobendan on Cardiac Function in Dogs With Tachycardia Induced Dilated Cardiomyopathy: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281278/
- Arrhythmic Mitral Valve Prolapse Syndrome and Ventricular Arrhythmias: A Comprehensive Review and the Role of Catheter Ablation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277030/
- The Outcome of Ventricular Arrhythmias Associated With Mitral Valve Prolapse After Catheter Ab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5024259/
- Long‐Term Outcomes of Mitral Valve Repair With Artificial Chordae and Annuloplasty for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in Dogs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2171926/
- Successful mitral repair in dogs by mitral annuloplasty using Hegar dilator: two case reports,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799939/
- Mitral valve repair in dogs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2366571/
- Open-heart techniques and mitral valve plasty for mitral regurgitation in toy- and small-breed dogs: A review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057224/
- Mitral annular disjunction in surgical mitral valve prolapse: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 PMC,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631076/
- The Mitral Annular Disjunction of Mitral Valve Prolapse: Presentation and Outcome - PubMed,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4147457/
- Effectiveness and safety of mexiletine in patients at risk for (recurrent) ventricular arrhythmias: a systematic review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681134/
- Review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to Canine ...,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753627/
- Clinical Outcomes of Mitral Valve Repair in Dog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Secondary to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 PMC - PubMed Central, 7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2012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