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도움 자료
심장질환 환자에서 이뇨제 저항성의 원인과 대책
:::::
2023. 2. 4. 16:01
이뇨제 반응 불양의 원인과 교정을 위한 접근 | |||
원인 | 임상적 소인 | uNa, 뇨량, FeNa 측정치 | 치료방법 |
부적절한 복용량 | Furosemide <6mg/kg/day, 지속적인 울혈 발 | 낮은 혈청 약물 농도 | 복용량이나 빈도를 늘기거나 투약경로를 바꾼다. |
위장관 흡수 불량 또는 지연 | 우심부전 음식과 함께 투약한경우 경구 생체이용률이 낮거나 가변적인 약물 위장병 상태( IBD etc.,) |
낮은 혈청 약물 농도 | 투약 경로 변경, 복용량, 빈도의 변동 식사 전후를 피해서 먹일것 경구 생체 이용률이 높은 약물로 변경 위장병의 치료 |
신장으로의 전달이 안되는경우 | 우심부전으로 신장 실질의 울혈 심박출량이 불량한경우 |
낮은 혈청 약물 농도 | 우심의 압력 부하 감소 필요 박출량 조절 치료 병행 |
근위 세뇨관 기능 장애 | NSAIDs 병용 저알부민혈증 신부전 대사성 알카리증 |
낮은 혈청 약물 농도 | 경쟁 약물 투약 중단 저알부민혈증의 치료 약물투약량 증가 산염기 교정치료 |
뇨 단백질과의 결합 | 단백뇨 | 단백뇨 치료 | |
원위 네프론의 Na 흡수 증가 | 명백한 원인 없이 시간 경과에 따른 이뇨효능 감소 저염소혈증 부적절한 RAAS 억제 |
낮은 uNa : uK | thiazide 이뇨제 추가 ACEI 추가 또는 증량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억제제 추가 또는 증가 acetazolamide 투약 |
이뇨제가 차단되거나 신경호르몬적 반응 | 시간 경과에 따른 이뇨 효능 감소(특히 급성 심부전에 의한 혈관 투약시) 저염소혈증 약물 최적화 부제(즉, ACEI, spirolactone) |
낮은 uNa : uK | ACEI 추가 혹은 증량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억제제 추가 또는 증가 반감기가 긴 이뇨제로의 변경 이뇨제 CRI(급성 폐수종치료시) |
Na와 수분의 리바운드 | 반감기가 짧은 이뇨제 | 낮은 uNa : uK | 투약 빈도를 늘릴것 혹은 반감기가 긴 이뇨제로 변동 |
과도한 물 섭취 | 과도한 다갈증 이뇨제 투여 후 체중 증가 |
소변량이 많으며 낮은 uNa | 물제한을 조심스럽게 해야함 행동교정 물을 많이 마시는 기저질환의 치료 |
과도한 Na 섭취 | 고 염분 식이 | 식이 Na > 총 uNa | 적절한 Na 제한 식단 변경 |
보호자의 투약 지도 비준수 | 보호자의 지시이행 수준 | 약물의 volume이나 빈도를 줄이는것 투약 횟수의 변경 투약방법의 변동 |
|
Nonosmotic vasopressinstimulation | 저나트륨 혈증 저염소혈 |
Correcteda> measuredserum Cl | 항바소프레신 약물(Vaptans etc,m) 신장 관류 개선 (inotropes etc) RAAS 억제 추가 또는 증가 acetazolamide 추가 신중하게 물을 제한 |
개, 고양이의 심장 질환 치료를 장기적으로 하다보면 어느 순간 보통 사용하는 이뇨제의 효능이 떨어지는 시기가 온다.
이뇨제 저항성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데 이런 상황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상황에 대한 자료여서 진료 도움을 위해 정리한다.
다만 절대적인 사항이 아니기에 환자의 임상증상과 다른 검사 지표와 함께 고려하여 평가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