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별진단 목록/질환 목록
반려견의 외이염(귓병) 발생 원인
:::::
2024. 7. 18. 23:02
반응형
외이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크게 1차 원인, 2차 원인, 소인, 지속 원인으로 분류됩니다.
1차 원인:
- 기생충: 귓속 진드기(Otodectes cynotis), 모낭충(Demodex spp.), 옴벌레(Sarcoptes scabiei), 고양이 옴벌레(Notoedres cati), 가시진드기(Otobius megnini)
- 과민 반응: 아토피, 음식 알레르기, 접촉 알레르기, 약물 반응(국소 또는 전신); 만성 외이염의 가장 흔한 원인; 음식 알레르기의 50% 이상에서 발생
- 이물: 식물, 털, 약물
- 각화 이상: 귀지 생성 증가로 인한 외이도 기능적 폐쇄
- 내분비 질환: 면역 억제 및 귀지 생성 변화 유발
- 자가면역 질환: 귓바퀴에는 자주 영향을 미치지만 외이도에는 덜 영향을 미침
2차 원인:
- 세균 감염: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장구균(Enterococcus spp.),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spp.), 코리네박테륨(Corynebacterium spp.), 대장균(Escherichia coli)
- 곰팡이 감염: 말라세지아 파키더마티스(Malassezia pachydermati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드물게 다른 곰팡이(Sporothrix schenckii, Cryptococcus neoformans)
소인:
- 폐쇄: 신생물, 염증성 용종, 귀지샘 증식증, 털 축적
- 귀지샘종증: 중년 고양이의 귓바퀴 오목한 부분과 근위 수평 외이도에 발생하는 여러 개의 검은색 결절
지속 원인:
- 만성 변화: 귀지샘 증식증 및 용종 형성으로 인한 외이도 협착, 염증으로 인한 부기, 흉터 및 석회화
- 만성 변화: 귀지 생성 증가 및 표피 이동 및 물리적 폐쇄에 의한 제거 감소로 인해 귀에 이물질이 더 잘 남게 됨
- 중이염: 외이염의 빈번한 후유증
--------------------
* 면봉 사용은 다음과 같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 외이도 손상: 면봉을 너무 깊숙이 넣거나 거칠게 사용하면 외이도의 피부에 상처를 입힐 수 있습니다. 이는 염증을 유발하고 세균이나 곰팡이가 침투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귀지 제거 방해: 귀지는 외이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면봉을 사용하여 귀지를 과도하게 제거하면 외이도가 건조해지고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 이물 밀어 넣기: 면봉을 사용하면 귀지를 외이도 안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습니다. 이는 귀지가 뭉치거나 쌓여 외이도를 막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자극 및 염증 유발: 면봉의 마찰은 외이도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려움증, 통증, 발적 등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면봉의 사용은 외이도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1차원인에 해당하는 이물, 각화이상 그리고 2차원인들을 유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또한 면봉 사용이외에도 보호자에 의한 귀청소가 면봉 사용과 동일한 효과를 보이기에 금기시 하는게 옳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