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염증성 장 질환(IBD) 환자에서 SDMA 상승의 가능성: 신부전 외 소화기계 질환의 고려
서론
Symmetric dimethylarginine (SDMA)은 모든 핵을 가진 세포 내에서 단백질의 아르기닌 잔기가 메틸화된 후 단백질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입니다. 이는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며, 사구체 여과율(GFR)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생체 지표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1. 혈청 SDMA 농도는 크레아티닌과 비교했을 때 신장 기능 저하를 더 이른 시기에 감지할 수 있는 더 민감한 지표로 여겨지며, 근육량 변화에 덜 영향을 받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임상적으로 SDMA 수치가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신부전 또는 급성 신장 손상(AKI)과 같은 신장 질환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됩니다 1.
고양이 염증성 장 질환(IBD)은 만성적인 위장관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구토, 설사, 체중 감소와 같은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냅니다. IBD의 발병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 장내 미생물 불균형, 그리고 환경적 요인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7. 림프구성 형질세포성 장염(LPE)은 고양이 IBD의 가장 흔한 조직학적 형태 중 하나로, 장 점막 고유층에 림프구와 형질세포의 현저한 침윤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9. IBD와 LPE는 임상 증상 및 조직 병리학적 소견이 위장관 림프종과 유사하여 감별 진단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7.
최근 연구에서는 림프종과 같은 특정 비신장 질환을 앓는 개와 고양이에서 신장 기능 저하 없이도 혈청 SDMA 농도가 상승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1. 이러한 발견은 SDMA 상승이 신장 기능 장애의 특이적인 지표가 아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다른 질환 상태에서도 SDMA 수치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IBD 및 LPE와 같은 만성 염증성 소화기계 질환이 고양이의 SDMA 수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양이 IBD 환자에서 신부전이나 신기능 장애 없이 SDMA 수치가 정상 범위 이상으로 측정될 수 있는지 조사하고, SDMA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 신장 질환을 우선적으로 의심하기보다 IBD나 LPE와 같은 소화기계 질환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해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습니다. 검색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양이 염증성 장 질환 SDMA", "고양이 림프구성 형질세포성 장염 SDMA". 또한, SDMA 상승의 비신장적 원인을 조사하고 IBD/LPE에서 흔히 나타나는 단백질 이화작용과 SDMA 간의 잠재적 연관성을 탐색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색을 수행하였습니다.
논문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고양이 IBD 또는 LPE 환자의 SDMA 수치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거나, 염증 또는 단백질 이화작용과 SDMA 농도 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 논문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둘째, 신부전 또는 신기능 장애가 있는 고양이가 연구 대상에 포함된 경우, 신장 질환이 없는 고양이의 SDMA 수치를 별도로 분석하거나 제시한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습니다. 셋째, 언어 제한 없이 검색된 모든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최종 논문은 한국어로 작성되었습니다.
선정된 논문의 초록 및 전문을 상세히 검토하여 IBD 또는 LPE를 앓는 고양이에서 SDMA 수치가 정상 참고 범위 이상으로 상승한 사례가 보고되었는지 확인하고, 해당 연구 결과의 근거를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논문에서 제시된 SDMA 상승의 가능한 기전 (예: 염증, 단백질 이화작용)을 추출하여 정리하고, IBD/LPE 환자에서 SDMA 상승을 설명할 수 있는 잠재적 연결고리를 탐색하였습니다.
결과
"고양이 염증성 장 질환 SDMA" 키워드로 PubMed를 검색한 결과, 고양이 IBD 환자의 SDMA 수치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1. 검색된 대부분의 연구는 고양이의 일반적인 염증 상태 (혈청 아밀로이드 A 농도 상승으로 정의)와 SDMA 농도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IBD에 특화된 연구는 아니었습니다 1. 한 연구에서는 전신 염증이 있는 고양이와 정상적인 SAA 농도를 가진 고양이 간의 SDMA 농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염증 상태에서 SDMA가 사구체 여과율(GFR)의 더 나은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1.
"고양이 림프구성 형질세포성 장염 SDMA"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역시, LPE와 SDMA 수치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10.
SDMA 상승의 비신장적 원인과 관련된 문헌 검색에서는 림프종을 앓는 고양이에서 신장 기능 저하 없이 혈청 SDMA 수치가 유의하게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확인되었습니다 1. 림프종은 IBD와 유사한 임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IBD 환자에서도 SDMA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12. 또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같은 다른 만성 질환을 앓는 고양이에서도 SDMA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1, 요로 폐쇄와 같은 급성 질환에서도 SDMA 상승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21.
IBD/LPE에서의 단백질 이화작용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IBD 및 LPE를 포함한 만성 장 질환을 앓는 고양이에서 대사 변화, 특히 아미노산 대사의 이상이 보고되었습니다 22. 인간 및 동물 모델 연구에서는 IBD와 유사한 염증성 질환에서 단백질 아르기닌 메틸화 효소(PRMT)의 활성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SDMA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24.
고찰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까지 고양이 IBD 또는 LPE 환자에서 신부전 없이 SDMA가 상승하는 사례를 직접적으로 보고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IBD와 SDMA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아직 미흡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림프종과 같이 IBD와 임상적으로 유사한 질환에서 SDMA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는 사실은 IBD 환자에서도 SDMA 상승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15.
IBD/LPE 환자에서 SDMA가 상승할 수 있는 잠재적인 기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IBD 및 LPE는 만성적인 염증 상태를 특징으로 하므로, 전신적인 염증 반응이 SDMA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1. SDMA는 단백질 아르기닌 메틸화 효소(PRMT)에 의해 생성되며, 염증 상태에서 이러한 효소의 활성이나 발현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인간의 집중 치료실 환자 연구에서는 혈청 SDMA 농도가 백혈구 수, C-반응성 단백질(CRP), 프로칼시토닌, 종양 괴사 인자와 같은 전신 염증 지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1. 그러나 고양이 연구에서는 SAA와 SDMA 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이 가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1.
둘째, 만성적인 소화기계 질환은 영양 흡수 장애 및 단백질 손실을 유발하여 단백질 이화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SDMA 생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1. SDMA는 단백질 분해 과정의 부산물이므로, 단백질 이화작용이 증가하면 혈중 SDMA 농도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IBD 환자에서 아미노산 대사의 이상이 보고된 것은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합니다 22.
셋째, 인간 및 동물 모델 연구에서 IBD와 같은 염증성 질환에서 PRMT 활성 변화가 관찰된 점을 고려할 때, 고양이 IBD/LPE 환자에서도 PRMT 활성 변화가 발생하여 SDMA 생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24. PRMT는 아르기닌 잔기를 메틸화하여 SDMA를 생성하는 효소이므로, 염증성 환경에서 PRMT의 발현이나 활성이 조절되면 SDMA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SDMA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고양이 환자를 진단할 때, 신부전 또는 신기능 장애뿐만 아니라 IBD나 LPE와 같은 소화기계 질환의 가능성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특히, 신장 기능 저하의 다른 징후 (예: 요비중 감소, 혈중 요소 질소 및 크레아티닌의 현저한 상승)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소화기계 증상에 대한 면밀한 평가와 추가적인 진단 검사 (예: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내시경 검사 및 생검)가 필요합니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고 있으며, 고양이 IBD/LPE 환자의 SDMA 수치를 직접적으로 측정한 연구가 부족하여 결론 도출에 제한이 있습니다. 향후 고양이 IBD 및 LPE 환자를 대상으로 SDMA 수치를 전향적으로 측정하고, 신장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IBD/LPE에서의 염증 정도, 단백질 이화작용, PRMT 활성 등이 SDMA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표 1: SDMA 수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신장적 요인
요인 | SDMA에 미치는 영향 | 참고 문헌 |
림프종 | 증가 | 1 |
갑상선 기능 항진증 | 증가 | 1 |
요로 폐쇄 | 증가 | 21 |
결론
결론적으로, 고양이 IBD 환자에서 SDMA가 높게 측정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이는 림프종과 같은 유사 질환에서의 SDMA 상승 사례 및 IBD에서의 잠재적 기전 (염증, 단백질 이화작용, PRMT 활성 변화)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 SDMA 상승을 보이는 고양이 환자를 평가할 때, 신부전 외에도 IBD나 LPE와 같은 소화기계 질환을 감별 진단 목록에 포함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고양이 IBD 및 LPE와 SDMA 간의 정확한 연관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자료
- Association of Serum Symmetric Dimethylarginine Concentrations and Inflammation in Cats,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63204/
- Positive Impact of Nutritional Interventions on Serum Symmetric Dimethylarginine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in Client-Owned Geriatric Dogs,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835100/
- SDMA Frequently asked questions - IDEXX Norway,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www.idexx.no/nb/veterinary/reference-laboratories/sdma/sdma-faqs/
- Symmetric Dimethylarginine in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Diabetes Mellitus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787200/
- Evaluation of symmetric dimethylarginine in cats with acute kidney injury and chronic kidney disease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511064/
- Evaluation of symmetric dimethylarginine in cats with acute kidney injury and chronic kidney disease - PubMed,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5903963/
- Feline idiopath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what we know and what remains to be unraveled - PubMed,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2736679/
- Feline Idiopath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What we know and what remains to be unraveled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22384/
- Short colon syndrome in cats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256177/
- Lymphocytic-plasmacytic enteritis in a cat - PubMed,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972680/
- Lymphocytic/plasmacytic gastroenteritis in cats: 14 cases (1985-1990) - PubMed,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1624355/
- ACVIM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on diagnosing and distinguishing low‐grade neoplastic from inflammatory lymphocytic chronic enteropathies in cats,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229359/
- Intestinal S100/Calgranulin Expression in Cats with Chronic Inflammatory Enteropathy and Intestinal Lymphoma - PMC - PubMed Central,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404432/
- Differentiation of lymphocytic‐plasmacytic enteropathy and small cell lymphoma in cats using histology‐guided mass spectrometry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096630/
- The association between symmetric dimethylarginine concentrations and various neoplasms in dogs and cats - PubMed,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5718995/
- Association of Serum Symmetric Dimethylarginine Concentrations and Inflammation in Cats - PubMed,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40008808/?utm_source=Googlebot&utm_medium=rss&utm_campaign=pubmed-2&utm_content=1xsH31AbM3IPIHPVnEwXFUGx1k3c3PoLtLcNXNEUC899w7hQIZ&fc=20240218130052&ff=20250305084000&v=2.18.0.post9+e462414
- Comparison of serum SDMA and creatinine as a biomarker for the detection of meloxicam-induced kidney injury in cats - Frontiers,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veterinary-science/articles/10.3389/fvets.2024.1395505/full
- Positive Impact of Nutritional Interventions on Serum Symmetric Dimethylarginine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in Client-Owned Geriatric Cats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831797/
- Renal biomarkers in cats: A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in chronic ...,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965260/
- Hyperthyroid cats and their kidneys: a literature review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543258/
- Assessment of serum symmetric dimethylarginine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in cats with urethral obstruction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812315/
- Unbiased serum metabolomic analysis in cats with naturally occurring chronic enteropathies before and after medical intervention,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960826/
- The effects of a hydrolyzed protein diet on the plasma, fecal and urine metabolome in cats with chronic enteropathy,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652014/
-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5 Inhibition Upregulates Foxp3+ Regulatory T Cells Frequency and Function during the Ulcerative Colitis,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440547/
- The arginine methyltransferase PRMT5 promotes mucosal defense in the intestine,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7666668/
- The arginine methyltransferase PRMT5 promotes mucosal defense in the intestine - PMC,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477432/
-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5 Inhibition Upregulates Foxp3+ Regulatory T Cells Frequency and Function during the Ulcerative Colitis - PubMed, 3월 27,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8588584/
'논문겉핥기 >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와 고양이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등용적 이완기 시간(IVRT) 측정의 임상적 의의, 정확성 및 해석 (0) | 2025.04.25 |
---|---|
고양이 지방간: 식욕 부진이 초래하는 간 질환 (1) | 2025.04.23 |
봄철 미세먼지 심한 날, 반려견 산책 시 주의사항 (0) | 2025.04.16 |
댕댕이와 함께 떠나는 설렘 가득 여행 (2) | 2025.04.15 |
반려견의 꼬르륵 소리: 원인, 증상 및 관리법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