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IT 이나 PDGFRA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어야 글리벡 즉, imatinib의 항암 효과가 높아지는데 그렇지 않는 고양이 GIST 환자들이 있다는 내용이다.
역으로 생각해 보면 고양이 GIST에서도 글리벡이 잘 사용된다는 말이기도 하여
비발암성 항암제로 글리벡을 고양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근거 논문이 되기도 한다.
물론 KIT 이나 PDGFRA 돌연변이 검사를 삼광의료제단같은곳에 의뢰하는 방법으로 확인해보는것도 필요해 보이기는 하지만
글리벡 자체가 워낙 부작용이 덜한 약물이다 보니
진단 없이 투약해 보는것도 진단적 치료개념으로 시도해볼만하니
보호자의 동의하에 진행해 보는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 생각된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관절염 환자에서의 영양제/보조제의 효과 (글루코사민 & 콘드로이친 ) (0) | 2022.03.13 |
---|---|
원발성 IMHA에서 발생하는 전신고혈압 (0) | 2022.03.13 |
오뎅 꼬치의 나무를 먹고 흉강으로 이동한 11케이스 (0) | 2022.03.12 |
고양이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음악? (0) | 2022.03.12 |
고양이 췌장염 환자에서의 초음파 검사 결과치 관련 (0) | 2022.03.11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