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물을 먹은것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작은 금속이래도 일단 먹으면 무조건 제거를 위해 내시경을 하거나 구토를 시켜야 하는 이유가 있다.
위안에 있으면서 폐색을 유발하지도 않고 매우 안정적으로 잘 위치한 나사볼트지만
성분중 아연이 도금 혹은 포함되어 있어 고양이에서 아연 중독증을 유발한 케이스이다.
제거가 늦어질수록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매우 작은 금속이더라도 방사선 검사상에 관찰되었거나 먹은 이력이 있다면 반드시 즉각적으로 제거를 위한 내시경 혹은 수술적 제거가 추천된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살짜리 개에서 종양이 생길 수 있는가? 염증성 근섬유모세종 (0) | 2023.01.20 |
---|---|
고양이 백내장 수술의 예후_수술 해야 하는가? (0) | 2023.01.19 |
단두종 강아지의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0) | 2023.01.16 |
고양이 췌장염, 어디까지 가봤니? (0) | 2023.01.14 |
반려견 급성췌장염의 후유증, 심장병 (0) | 2023.01.08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