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형견을 주로 많이 키우는 국내 여건상 슬개골탈구는 서구권 국가에 비해 한국에서 더 많이 강조되어 왔다.
이때문에 보호자들의 인식은 거의 '뒷다리 파행 = 슬개골탈구'라는 공식으로 여길정도이다.
이런 상태로 문제가 되는것이 다른 질환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수의사들 마저도 감소한다는데 있다.
이런 현상을 완화시킬, 왜 슬개골탈구 이상으로 십자인대단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되는 논문이 나왔다.
본문을 볼필요도 없이 제목이 답을 말하고 있다.
즉, 소형견에서 슬개골탈구보다 십자인대 단열이 무릎의 관절염을 더 더 심하게 유발한다라는것이다.
다른 논문들에 슬개골 탈구 수술은 최대한 빨리 하는게 가장 좋다고 소개되었다.
https://diamed.tistory.com/357
십자인대 단열은 슬개골 탈구보다 훨씬 빨리 교정해주는것이 옳다고 보아야 한다.
관절낭이 종창된것만으로도 십자인대의 이상을 추정할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최대한 빨리 치료를 해주는게 추천된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췌장염, 어디까지 가봤니? (0) | 2023.01.14 |
---|---|
반려견 급성췌장염의 후유증, 심장병 (0) | 2023.01.08 |
고양이 백내장이 발생할 확률은? (0) | 2023.01.05 |
샴푸로 강아지 말라세지아 치료할 수 있나? (0) | 2023.01.05 |
저용량 멜록시캄의 항암중인 고양이 적용 (0) | 2023.01.04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