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상범위 :
개 : 75%-120%
고양이 : 75%-110%
상승
외인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주입 : 개에서
염증
antithrombin의 상승은 임상적 의미가 없음
하강
생성의 감소
간부전
PSS
소실의 증가
단백소실성 신질환
신우신염
신장의 아밀로이드증
단백소실성 장질환
간에서의 antithrombin enzyme 복합체의 제거 증가
파종성혈관내 응고 (DIC)
반응형
'임상병리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동물 세포학에서 악성도 평가 기준 (2) | 2023.09.28 |
---|---|
반려동물의 호염구 (Basophil Count) (1) | 2023.09.26 |
반려견에서 TP, TPRO, total protein, 혈중총단백량 (0) | 2023.09.15 |
Phosphorus in dog and cat : P, 고인혈증, 저인혈증, 인수치 (1) | 2023.08.17 |
칼륨 potassium, 포타슘, K (0) | 2023.07.14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