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의사들 사이에서는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PSS 수술을 할 때 아밀로이드 링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여기에 반기를 드는 논문은 사실 여럿 있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밀로이드 링보다 테이프법을 선호하는 연구도 있다.
https://diamed.tistory.com/532
2017년 논문이기는 한데 51마리 개에서 그냥 결찰 해버린 후 과연 정말로 압력 증가로 다중 shunt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논문이 있어 소개한다.
아밀로이드 링을 계속 사용하여도 크게 상관은 없다. 다만 수술을 직접 해보면 알게 되는데 장착이 그리 수월한 건 아니니, 경우에 따라 바로 결찰 하는 것도 고려하기 바란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의 원스텝 방광루 조성 장비의 안정 (0) | 2024.04.23 |
---|---|
당신의 강아지가 고지혈증이 있다면? (0) | 2024.04.21 |
고양이도 나병이 생긴다 (0) | 2024.04.17 |
PSS가 추간판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0) | 2024.04.14 |
이제는 과산화수소를 강아지에게 먹이지 맙시다. (0) | 2024.04.12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