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려견 비만으로 인해 발생률이 증가하는 질환 리스트
- 근골격계 질환:
- 관절염 (골관절염): 비만견은 과체중으로 인해 관절에 더 큰 부담을 주어 관절염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합니다.
- 전십자인대 질환: 비만견은 전십자인대 파열 위험이 정상 체중견에 비해 4배에서 6배까지 증가합니다.
- 호흡기 질환:
- 기관 허탈: 비만으로 인해 기도 주변에 지방이 축적되어 기관이 좁아지고 약해져 기관 허탈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 단두종 기도 증후군: 단두종 견종은 이미 호흡 곤란을 겪기 쉬운데, 비만은 이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비뇨기계 질환:
- 요실금: 비만은 복압을 증가시켜 요실금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 내분비 및 대사 질환:
- 당뇨병: 비만견은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기 쉬워 당뇨병 발생 위험이 3배까지 증가합니다.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만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 사이에는 복잡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서로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심혈관 질환:
- 고혈압: 비만견은 고혈압 발생 위험이 증가하며, 이는 심장, 신장 및 기타 장기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기타:
- 피부 질환: 비만견은 피부 주름 사이에 습기와 염증이 발생하기 쉬워 피부 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 마취 위험 증가: 비만은 마취 약물의 분포 및 제거에 영향을 미쳐 마취 위험을 증가시키고 수술 후 합병증 가능성을 높입니다.
- 수명 단축: 연구에 따르면 비만견은 정상 체중 견에 비해 수명이 최대 2년까지 단축될 수 있습니다.
참고:
- 발생률 증가는 정상 체중 반려견 대비 비만 반려견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나타냅니다.
- 구체적인 발생률 증가 수치는 연구마다 차이가 있으며, 개별 품종, 나이, 생활 방식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진료 도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심근병증의 초음파 검사 기준 분류표 (0) | 2024.08.08 |
---|---|
고양이에서 비만으로 인해 발생률이 증가하는 질환 리스트 (0) | 2024.08.04 |
고양의 비만도 평가, 몸매평가 BCS (0) | 2024.07.28 |
반려견의 비만도 평가, 몸매평가 BCS (0) | 2024.07.28 |
갑상선기능항진증 고양이의 삶의 질 평가 기준 (HyperthyroidismQoL-cat) (0) | 2024.06.11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