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중격부 Ea (초기 이완기 속도): 평균 7.2 ± 2.5 cm/s
  • 중격부 Sa (수축기 속도): 평균 6.3 ± 1.7 cm/s
  • 좌심실 외측벽 Ea: 평균 12.0 ± 4.1 cm/s
  • 좌심실 외측벽 Sa: 평균 8.3 ± 1.6 cm/s
  • 중격부 Aa (말기 이완기 속도): 평균 4.7 ± 1.5 cm/s

    * 고양이에서는 Ea/Aa ratio가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아 평가 기준으로 사용하지 않음

 

 

 

LVFW E' > 7.2cm/sec , 7.2cm보다 작으면 HCM에 의한 이완능 감소로 평가 , 민감도 92%, 특이도 87%

( KOFFAS, H., et al. Pulsed tissue Doppler imaging in normal cats and ca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2006, 20.1: 65-77.)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있는경우 S'의 중격에서의 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나 lateral에서는 영향이 없음. 즉, 중격의 수축력은 증가시키나, 자유벽에서의 영향은 없음, so, secondary 갑기항의 경우 septum만 두꺼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

  • 추가적인 고려 사항
    • E/E' 비율: 좌심방 압력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로, E 파와 E' 파의 속도 비율을 나타냅니다.
      • 정상: 10 미만
      • 좌심방 압력 상승: 10 이상
    • IVRT (등용적 이완 시간): 대동맥판 닫힘부터 승모판 열림까지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 정상: 43 ± 9 ms
      • 이완 기능 장애: 60 ms 초과
    • E/A 비율: 승모판 유입 혈류의 E 파와 A 파의 속도 비율을 나타냅니다.
      • 정상: 1.12 ± 0.22
      • 이완 기능 장애: 1 미만 혹은 2 초과
    • 위의 기준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며, 환자의 상태나 기저 질환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여러 도플러 지표들을 함께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 심장 초음파 검사 결과는, 항상 임상 증상 및 기타 검사 결과와 함께 해석되어야 합니다.
    개와 고양이의 차이점:
    • 심실 중격 평가: 개에서는 심실 중격의 E'를 기준으로 이완 기능 장애를 평가하지 않지만, 고양이에서는 심실 중격의 E' 감소가 이완 기능 장애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정상 범위: 각 지표의 정상 범위는 개와 고양이에서 다르므로, 각 종에 맞는 참고 범위를 사용해야 합니다.
    • E/E' 비율: 개에서는 12 이상, 고양이에서는 10 이상일 때 좌심방 압력 상승을 시사합니다.
    • IVRT: 개에서는 65 ms 초과, 고양이에서는 60 ms 초과일 때 이완 기능 장애를 나타냅니다.

ref : Clinical Echocardiography of the Dog and Cat

반응형
Posted in : 진료 도움 자료 at 2024. 8. 11. 14:44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