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의 전구 증상과 발작 증상에 대해서는 많은 문헌들에서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발작 후 증상들의 종류와 지속 기간에 대한 문헌은 드문편이다. 있더라도 매우 짧게 기술하고 넘어가는게 보통. 

이번에 나온 논문은 이런 부분에 대한 질문의 답을 해주고 있다. 

 

 



 

연구 결과

  • 연구에 참여한 87마리 중 79마리(90.8%)에서 발작 후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 가장 흔한 발작 후 증상은 방향 감각 상실(89.9%), 비틀거림 또는 어색함(84.8%), 갈증(68.4%), 네 다리의 쇠약(53.2%), 기면(53.2%) 등이었습니다.
  • 발작 후 증상의 지속 시간은 평균 30분이었으며, 5분에서 4320분까지 다양했습니다.
  • 발작 후 증상은 발작 자체보다 개의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발작 후유증 강아지 수 비율 (%)
방향 감각 상실 70 89.9
비틀거림 또는 어색함 66 84.8
갈증 54 68.4
네 다리의 쇠약 42 53.2
기면 42 53.2
배고픔 38 48.1
불안 36 45.6
짖음 29 36.7
초점 없는 응시 26 32.9
페이싱 24 30.4
헐떡임 21 26.6
떨림 15 19
구토 13 16.5
실금 11 13.9
공격성 8 10.1
배변 7 8.9
발성 6 7.6
경련 3 3.8
자해 1 1.3

  • 가장 흔한 지속 시간: 그림에서 가장 높은 막대는 5-15분 사이에 위치하며, 이는 대부분의 개들이 발작 후 5분에서 15분 정도 지속되는 증상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속 시간의 다양성: 히스토그램의 막대는 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즉, 어떤 개는 5분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증상을 보이는 반면, 어떤 개는 4320분(약 3일) 이상 지속되는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발작 후 증상의 지속 시간이 개마다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발작 후 증상의 심각성: 지속 시간이 길수록 발작 후 증상이 더 심각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지속되는 증상은 개의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발작 후유증,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강아지의 발작 후유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꾸준한 관찰: 발작 후 강아지의 행동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수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 안전한 환경 조성: 발작 후 강아지는 방향 감각을 잃거나 움직임이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을 정리하고 안전한 공간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 충분한 휴식: 발작 후에는 강아지가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 수의사와의 협력: 발작 후유증의 종류와 지속 시간, 강아지의 건강 상태 등을 수의사에게 자세히 알리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아야 한다.

강아지의 발작 후유증은 보호자에게 큰 걱정과 부담을 안겨줄 수 있다. 하지만 꾸준한 관심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강아지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 at 2025. 2. 22. 18:12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