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더위는 반려견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열사병(고체온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 열사병은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0%에 달할 수 있는 응급 상황입니다.1 하지만 반려견이 왜 더위에 취약한지 이해하고, 올바른 예방 및 대처 방법을 미리 준비한다면 이러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반려견의 열 스트레스 및 열사병에 관한 최신 수의학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보호자님께서 가정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들을 제공하여 반려견의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나기를 돕고자 합니다.

 

1. 우리 강아지는 왜 더위에 약할까요? (Why is My Dog Vulnerable to Heat?)

 

1.1. 열사병(고체온증)이란 무엇일까요? (What is Heatstroke/Hyperthermia?)

열사병 또는 고체온증은 질병으로 인한 발열(pyrexia)과 달리, 체내 열 생산과 열 발산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온 조절 능력이 한계를 넘어 비정상적으로 체온이 상승하는 상태를 말합니다.2 일반적으로 심부 체온이 41°C (105.8°F) 이상으로 상승하며 1, 이는 신체 조직, 특히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켜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응급 상황입니다.1 열사병은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격렬한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동 유발성 열사병(exertional HRI), 고온 환경 노출로 인한 환경성 열사병(environmental HRI), 그리고 뜨거운 차 안에 방치되어 발생하는 차량성 열사병(vehicular HRI)입니다.5 특히 운동 유발성 열사병은 반려견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7

 

1.2. 강아지는 어떻게 체온을 조절할까요? (How Do Dogs Regulate Body Temperature?)

개는 사람과 달리 땀샘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땀을 통해 체온을 효과적으로 낮추기 어렵습니다.2 개의 주된 체온 조절 메커니즘은 '헐떡거림(panting)'을 통한 증발 냉각입니다.2 헐떡거림은 외부의 시원하고 건조한 공기를 코와 입 안의 넓고 촉촉한 점막 표면(혀, 비갑개 등) 위로 빠르게 통과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몸의 열을 빼앗아가는 원리입니다.2

이 외에도 개는 피부 근처 혈관을 확장시켜(vasodilation) 혈액 순환을 늘리고, 피부 표면과 주변의 시원한 공기 사이의 열 교환(대류, convection), 주변 환경으로 열을 방출(복사, radiation), 그리고 시원한 바닥에 닿아 열을 전달(전도, conduction)하는 방식으로도 체온을 조절합니다.2 하지만 전도는 시원한 표면에 누워있지 않는 한 열 발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습니다.2

이러한 체온 조절 능력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주변 환경의 습도가 높으면 헐떡거림을 통한 증발 냉각 효율이 크게 떨어집니다.1 또한, 개의 털은 단열재 역할을 하여 외부의 열로부터 몸을 보호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몸 안의 열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11

 

1.3. 더위에 특히 취약한 강아지들이 있어요 (Some Dogs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Heat)

모든 개가 더위에 똑같이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개들은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견종 (Breed):
  • 단두종 (Brachycephalic): 퍼그, 불도그, 프렌치 불도그, 시츄, 페키니즈, 복서 등 얼굴이 납작하고 코가 짧은 견종들은 선천적으로 좁은 콧구멍, 늘어진 연구개, 좁은 기도 등의 해부학적 구조 때문에 헐떡거림을 통한 효율적인 호흡과 체온 조절이 어렵습니다.1 이 견종들은 운동성, 환경성, 차량성 등 모든 유형의 열사병 발생 위험이 일반 견종보다 훨씬 높습니다.8
  • 대형견 (Large breeds): 체중이 15kg 또는 50kg 이상 나가는 대형견들도 열사병 위험이 높습니다.1 연구에서 특히 위험도가 높게 나타난 견종으로는 래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차우차우, 잉글리쉬 스프링어 스파니엘, 사모예드,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호주 스텀피 테일 캐틀독, 보더 콜리, 스태포드셔 불 테리어,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파니엘, 에어데일 테리어, 마렘마 쉽독 등이 있습니다.1 (단, 래브라도나 골든 리트리버의 경우, 높은 활동량 때문에 과다 노출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1)

 

  • 나이 (Age): 노령견은 체온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더위에 취약합니다.5 반면, 어린 개들은 특히 운동으로 인한 열사병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8
  • 체중 (Weight): 비만하거나 과체중인 개는 몸에 축적된 지방이 단열 효과를 내고, 같은 활동에도 더 많은 열을 발생시켜 열사병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1
  • 털 (Coat): 털이 두껍거나 길고 빽빽한 경우, 또는 검은색과 같이 어두운 색의 털은 열을 더 많이 흡수하고 몸 안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하여 체온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4 반대로 비글처럼 털이 짧은 견종은 열을 더 쉽게 전도할 수 있습니다.19 (털은 외부 열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단열 효과도 있으므로, 실제 영향은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18)
  • 건강 상태 (Health Status): 호흡기 질환(기관 허탈, 후두 마비 등)이나 심장 질환과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져 위험이 높아집니다.2 과거에 열 관련 질환을 앓았던 경험이 있는 개도 재발 위험이 높습니다.4 래브라도 리트리버에서 나타나는 운동 유발성 허탈(EIC)과 같은 특정 유전 질환도 열사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1
  • 더위 적응 (Acclimatization): 더운 날씨에 점진적으로 적응할 시간이 부족했던 개는 갑작스러운 고온 환경에 매우 취약합니다.1 더위에 적응하는 과정은 단순히 익숙해지는 것이 아니라, 심혈관 기능 향상, 혈장량 증가, 냉각 효율 개선 등 신체 내부의 생리적인 변화를 동반합니다.2 이러한 생리적 적응은 시간이 필요하며, 부분적인 적응에 10~20일, 완전한 적응에는 최대 2개월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2 따라서 여름이 시작되는 시기나 갑작스러운 폭염 시기에 무리한 활동은 매우 위험합니다.
  • 신체 단련 수준 (Fitness Level): 평소 운동량이 부족하고 체력이 약한 개는 더위를 견디는 능력이 떨어집니다.1
  • 환경 (Environment): 높은 기온, 특히 습도가 높은 환경은 열사병의 주요 원인입니다.1 환기가 잘 안 되는 밀폐된 공간도 위험합니다.6

 

특히 여러 위험 요인을 동시에 가진 반려견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단두종이면서 과체중이고 노령인 경우, 각 요인이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 이상으로 열사병 위험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단두종의 구조적 문제로 기본적인 체온 조절 능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1, 비만으로 인한 단열 효과와 대사열 증가 1, 노화에 따른 생리적 회복력 감소 5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단두종과 과체중 반려견이 열사병 고위험군으로 꾸준히 보고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8

 

표 1: 우리 강아지, 혹시 더위에 더 취약할까요? 체크리스트

위험 요인 해당 시 체크 (✓) 설명
견종    
단두종 (퍼그, 불도그, 시츄 등)   납작한 얼굴 구조로 호흡과 체온 조절이 어려움 1
대형견 (>15kg)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작아 열 발산이 불리할 수 있음 1
특정 고위험 견종 (리트리버, 차우차우 등)   연구 결과 위험도가 높게 나타난 견종 25
나이    
노령견 (일반적으로 8세 이상)   체온 조절 능력 및 생리적 회복력 저하 8
어린 강아지 (<2세, 특히 운동 시)   활동량이 많고 아직 더위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할 수 있음 8
체중    
과체중 또는 비만   지방이 단열 효과를 내고 대사열 발생 증가 1
   
털이 두껍거나 빽빽함   단열 효과로 열 발산 방해 가능성 18
털 색깔이 어두움   햇빛 흡수율이 높아 체온 상승에 영향 가능성 22
건강 상태    
호흡기 또는 심장 질환 보유   체온 조절 능력 저하 2
과거 열 관련 질환 경험   재발 위험 증가 4
신체 단련 수준    
평소 운동량이 적음   더위 및 운동 부하에 대한 내성 부족 1
더위 적응    
최근 더운 지역으로 이사했거나 여름 초입   생리적 적응 기간 필요 2
참고: 체크된 항목이 많을수록 열사병 위험이 높으므로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2. 집안을 시원한 피난처로 만들기 (Making Your Home a Cool Haven)

여름철에는 반려견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집 안 환경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실내 온도 상승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특히 더위에 취약한 반려견에게는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14 일반적으로 반려견에게 적절한 실내 온도는 15°C~24°C 사이로 권장되며, 단두종의 경우 21~22°C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과열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14 "실내"가 곧 "안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통해 집안을 시원한 피난처로 만들어 주세요.

 

2.1. 시원한 공기 흐름 유지하기 (Maintaining Cool Airflow)

  • 환기: 실내 공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자주 환기시켜 주세요.6 특히 이른 아침이나 저녁 시간대에 창문을 열어 시원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컨 및 선풍기 활용: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에어컨을 사용하여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선풍기는 사람처럼 땀을 많이 흘리지 않는 개에게 직접적인 냉각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헐떡거림으로 인한 증발 냉각을 돕고 7, 특히 개의 털을 물로 적셔주었을 때 기화열을 빼앗아 체온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2. 시원한 휴식 공간 제공하기 (Providing Cool Resting Spots)

  • 시원한 바닥: 타일이나 대리석 바닥과 같이 시원한 표면은 반려견이 누웠을 때 몸의 열을 직접 전달하여(전도) 체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2 이러한 공간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실내 그늘: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창가 대신 서늘한 그늘진 곳에 반려견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세요.22 낮 동안에는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쳐서 실내 온도 상승을 막는 것이 좋습니다.

 

  • 쿨링 매트 (Cooling Mats):
  • 쿨링 매트는 반려견에게 시원한 휴식 표면을 제공하는 보조 도구입니다.2 젤 타입 매트는 냉장할 필요 없이 자체적으로 시원함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편리합니다.33
  •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쿨링 매트는 운동 후 과열된 개의 체온을 빠르게 낮추는 데 있어 물에 담그는 것(수중 침지)보다 효과가 떨어집니다.32 한 연구에서는 4°C의 쿨링 매트 위에서 체온을 낮추는 시간이 30°C의 물에 담그는 것보다 훨씬 오래 걸렸습니다.32
  • 따라서 쿨링 매트는 반려견의 편안함을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심각한 과열 상태를 치료하거나 극심한 더위 속에서 열사병을 예방하는 주요 수단으로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33 또한, 반려견이 매트를 물어뜯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33

 

  • 쿨링 조끼 (Cooling Vests):
  • 물에 적셔 사용하는 증발식 조끼와 미리 냉각시켜 사용하는 상변화물질(PCM) 조끼 등이 있습니다.35
  • 주로 작업견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증발식 조끼는 운동 중 및 운동 후 체온 상승을 억제하는 데 조끼를 입지 않은 경우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5 PCM 조끼도 어느 정도 효과를 보였습니다.35
  • 특정 상황(예: 더운 날 야외 활동 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몸에 잘 맞는지 확인하고 반려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쿨링 조끼 역시 극심한 더위를 피하는 근본적인 대책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쿨링 보조 용품들은 유용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수단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연구 결과는 심각한 열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적극적인 물 냉각 방식이 훨씬 효과적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32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원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며, 가장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피하는 기본적인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입니다.33 쿨링 매트나 조끼는 이러한 기본 관리 위에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하는 정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3. 물은 언제나 가까이에! (Water Always Within Reach!)

집안 여러 곳에 신선하고 시원한 물그릇을 놓아 반려견이 언제든지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해주세요.11 물그릇은 매일 깨끗하게 세척하고 물을 갈아주는 것이 위생적입니다.

 

2.4. 절대 차 안에 혼자 두지 마세요 (Never Leave Alone in a Car)

잠깐이라도 반려견을 차 안에 혼자 두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창문을 조금 열어두거나 그늘에 주차하더라도 차 안의 온도는 외부보다 훨씬 빠르게, 치명적인 수준까지 상승합니다.5 비교적 온화한 기후에서도 봄부터 가을까지 차 내부 온도는 위험 수준(>35°C)에 도달할 수 있으며 14, 이렇게 발생한 차량성 열사병은 운동 유발성 열사병만큼이나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8

 

표 2: 집에서 실천하는 더위 대비법: 효과와 주의점

 

방법 작동 원리 (Mechanism) 효과 수준 (High/Medium/Low/Comfort) 주요 고려사항/주의점
에어컨 공기 냉각 High 가장 효과적인 실내 온도 조절 방법. 급격한 온도 변화 주의.
선풍기 공기 순환 촉진 Low/Comfort (단독 사용 시) 직접적인 냉각 효과는 제한적. 헐떡거림 증발 보조.
선풍기 + 털 적시기 증발 냉각 촉진, 대류 냉각 보조 High 물을 뿌린 후 선풍기 바람을 쐬어주면 효과 증대.7 반려견 상태 확인.
시원한 바닥 (타일 등) 전도 (Conduction) Medium/Comfort 반려견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공간 제공.2
실내 그늘 복사열 차단 Medium 직사광선 차단, 커튼/블라인드 활용.22
쿨링 매트 (젤/물/얼음) 전도 (Conduction) Medium/Comfort 물 냉각보다 효과 낮음.32 편안함 제공 목적. 물어뜯지 않도록 주의.33 얼음 타입은 과냉각 주의.
쿨링 조끼 (증발식/PCM) 증발 냉각 / 상변화 물질 냉각 Medium (주로 활동 시) 작업견 연구 기반.35 가정 내 휴식 시 효과는 미지수. 몸에 잘 맞는지, 반려견이 불편해하지 않는지 확인. 보조 수단으로 활용.
신선한 물 상시 제공 수분 보충 (증발 냉각에 필수) High (예방의 기본) 여러 곳에 깨끗한 물그릇 비치. 매일 교체.11
차 안에 혼자 두지 않기 위험 환경 노출 차단 High (필수 안전 수칙) 잠깐이라도 절대 금물. 치명적 위험.14

 

3. 현명한 여름철 산책 가이드 (Smart Summer Walk Guide)

여름에도 반려견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산책은 필요하지만, 더위 속에서의 활동은 열사병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7 따라서 여름철 산책은 더욱 신중하게 계획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3.1. 산책은 시원한 시간대에 (Walk During Cool Times)

하루 중 가장 더운 시간대(보통 늦은 오전부터 늦은 오후까지)는 피하고, 비교적 기온이 낮은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 시간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22 일반적으로 오후 2시에서 5시 사이에 기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14

 

3.2. 뜨거운 바닥은 피해주세요! (Avoid Hot Surfaces!)

여름철 햇볕에 달궈진 아스팔트나 보도블록은 반려견의 발바닥에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22 보호자님의 손등을 바닥에 5~10초 정도 대어보았을 때 뜨겁다고 느껴지면 반려견에게도 너무 뜨거운 상태입니다. 가능하면 잔디밭이나 흙길, 그늘진 곳으로 걸어주세요.22 부득이하게 뜨거운 바닥을 걸어야 한다면 반려견용 신발(부티) 착용을 고려할 수 있지만, 반려견이 불편해하지 않고 잘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22 발바닥 화상뿐 아니라 뜨거운 지표면에서 올라오는 열기 자체가 반려견의 체온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2

 

3.3. 운동 강도와 시간 조절은 필수 (Adjust Exercise Intensity and Duration)

더운 날씨에는 평소보다 산책이나 놀이의 강도와 시간을 줄여야 합니다.1 특히 단두종, 과체중, 노령견, 더위에 아직 적응하지 못한 개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반려견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1 여름이 시작될 때는 갑자기 활동량을 늘리지 말고, 몇 주에 걸쳐 점진적으로 더위에 적응할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2

 

3.4. 산책 중에도 수분 보충 잊지 마세요 (Don't Forget Hydration on the Go)

산책 시에는 반드시 반려견이 마실 시원한 물을 휴대하고 38, 자주 멈춰서 조금씩 마실 수 있도록 해주세요. 이는 특히 더운 날씨에 필수적입니다.2 반려견이 안전하게 물을 마시거나 몸을 식힐 수 있는 깨끗한 물가가 있는 경로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38

 

3.5. 강아지의 신호를 읽으세요 (Read Your Dog's Signals)

산책 중 반려견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평소보다 심하게 헐떡거리거나, 침을 많이 흘리고, 뒤처지거나, 그늘을 찾으려 하고, 움직이기를 꺼리는 등의 모습은 과열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2 이러한 징후가 보이면 즉시 활동을 멈추고 시원한 곳에서 쉬게 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운동을 멈춘 후에도 몇 분 동안은 체온이 계속 상승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22 이는 근육에서 발생한 열이 몸 전체로 퍼지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동을 멈췄다고 해서 안심하지 말고, 반려견의 상태를 계속 주시하며 필요한 경우 즉시 몸을 식혀주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먼저 시원하게, 다음 병원으로" 원칙은 여기서도 유효합니다 7).

 

4. 수분 보충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Hydration)

충분한 수분 섭취는 여름철 반려견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4.1. 물, 생명 유지의 필수 요소 (Water: Essential for Life and Cooling)

물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반려견의 주요 체온 조절 메커니즘인 헐떡거림(증발 냉각)에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2 몸에 수분이 부족한 탈수 상태가 되면 헐떡거림을 통한 증발 냉각 효율이 떨어지고, 피부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여 복사 및 대류를 통한 열 발산 능력까지 저하됩니다.2 탈수된 개는 체온이 더 높아지는 것을 감수하면서까지 몸 안의 수분을 보존하려고 하기 때문에 42, 탈수는 열사병의 위험을 높이고 증상을 악화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11 탈수의 초기 징후로는 심박수와 호흡수 증가 등이 있으며, 진행되면 무기력, 허탈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1 따라서 더위에 노출되거나 운동하기 전부터 이미 충분히 수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 수화된 개는 탈수된 개보다 더위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더 높습니다.12 탈수는 이미 휴식 중인 개의 체온을 높일 수 있으므로 42, 여름철에는 항상 충분한 수분 공급에 신경 써야 합니다.

 

4.2. 강아지가 물을 충분히 마시게 하려면? (How to Encourage Your Dog to Drink Enough Water?)

  • 언제나 신선하고 깨끗한 물: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법입니다. 집안 여러 곳에 물그릇을 두고 항상 시원하고 깨끗한 물을 채워주세요.22 물그릇은 매일 세척합니다.
  • 흐르는 물: 일부 개들은 고여있는 물보다 흐르는 물을 선호하므로, 반려견용 정수기(분수형 급수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음식에 물 추가: 건사료를 급여한다면 사료에 물을 약간 섞어주는 것도 수분 섭취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얼음 간식: 얼음 조각을 간식처럼 주거나 물그릇에 넣어주면 물을 시원하게 유지하고 재미를 더해줄 수 있습니다. (단, 너무 크거나 단단한 얼음은 치아 손상이나 질식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 맛있는 물: 맹물 마시기를 꺼리는 반려견에게는 물에 소량의 닭고기나 소고기 육수(염분 함량이 낮은 것)를 섞어주면 음수량을 크게 늘릴 수 있습니다.12 연구 결과, 맛을 첨가한 물이나 전해질 용액이 맹물보다 개의 자발적인 수분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습니다.12

 

4.3. 전해질 음료, 꼭 필요할까요? (Are Electrolyte Drinks Necessary?)

개는 헐떡거림을 통해 주로 수분을 잃고, 사람의 땀과 달리 전해질 손실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12 따라서 대부분의 일반적인 반려견에게는 평소 신선한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맛을 첨가한 경구용 전해질 용액(OES)이 작업견의 총 수분 섭취량을 맹물보다 더 증가시켰다고 보고합니다.12 또한, 한 연구에서는 전해질이 강화된 용액이 단순히 맛만 첨가된 물(예: 닭고기 맛 물)보다 격렬한 운동 후 근육 손상 지표를 낮추는 데 이점이 있을 수 있으며, 최고 체온을 더 낮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27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여름철 환경의 보통 반려견에게는 깨끗한 물을 상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려견이 물 마시기를 꺼리거나 평소보다 활동량이 많았던 날에는 맛을 첨가한 물이나 OES가 수분 보충을 촉진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매우 격렬한 활동을 하는 특수한 경우(예: 작업견, 고강도 스포츠견)에는 OES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반려견의 일상적인 수분 보충에는 필수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당분이 많은 스포츠음료는 피해야 합니다.

 

5. 위험 신호 알아차리기: 열사병 초기 증상 (Recognizing Danger Signs: Early Heatstroke Symptoms)

열사병은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2, 초기 증상을 빨리 알아차리고 즉시 대처하는 것이 반려견의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입니다. 과열의 징후는 미미한 행동 변화에서 시작하여 심각한 상태로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4 보호자는 반려견의 평소 상태를 잘 알고 있다가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특히 심한 헐떡거림, 불안, 그늘 찾기, 무기력함과 같은 행동 변화는 5 종종 쓰러짐이나 발작과 같은 극적인 증상보다 먼저 나타나는 중요한 초기 신호입니다. 이러한 미묘한 신호를 놓치지 않고 조기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1. 놓치지 말아야 할 초기/경미한 신호 (Early/Mild Signs Not to Miss)

  • 과도한 헐떡거림: 평소보다 훨씬 심하고 빠르게, 또는 오랫동안 헐떡거립니다.2 헐떡일 때 어금니가 쉽게 보일 정도로 입을 크게 벌립니다.22
  • 과도한 침 흘림: 침을 평소보다 많이 흘리거나, 끈적끈적한 거품 침을 흘리기도 합니다.5
  • 불안, 안절부절: 안절부절못하고 불안해하며 서성거립니다.5
  • 그늘 찾기: 시원한 곳이나 그늘진 곳을 찾아가려고 합니다.22
  • 경미한 무기력: 약간 기운이 없어 보이거나 반응이 느려지고, 움직임이 뻣뻣해 보일 수 있습니다.5
  • 붉은 잇몸과 혀: 잇몸 색이 평소보다 짙은 붉은색을 띠고, 혀가 길게 늘어집니다.22
  • 표정 변화: 귀가 뒤로 젖혀지거나 눈을 가늘게 뜰 수 있습니다.22

 

5.2. 중등도 이상 진행 시 나타나는 증상 (Signs of Moderate Progression)

  • 심해지는 무기력, 졸음: 눈에 띄게 기운이 없고 졸려하며, 몸을 잘 가누지 못합니다.5
  • 비틀거림, 운동 실조: 몸의 균형을 잡기 어려워하며 비틀거리거나 제대로 걷지 못합니다 (ataxia).5
  • 구토 또는 설사: 피가 섞이지 않은 구토나 설사를 할 수 있습니다.4
  • 간헐적인 쓰러짐: 잠깐씩 의식을 잃거나 쓰러졌다가 일어나기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5
  • 단발성 발작: 한 번의 발작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5

 

5.3. 생명이 위급한 심각한 증상 (Severe, Life-Threatening Signs - EMERGENCY)

이 단계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 처치를 시작하고 최대한 빨리 동물병원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 허탈, 쓰러짐: 몸을 지탱하지 못하고 쓰러져 일어나지 못하거나 의식을 잃습니다.3 쓰러짐 자체가 응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22
  • 의식 소실, 혼수: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못하고 깊은 혼수 상태에 빠집니다.3 의식을 잃은 개는 체온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헐떡거림을 멈출 수 있습니다.46
  • 반복적인 발작: 여러 차례 발작을 일으킵니다.3
  • 호흡 곤란: 숨쉬기 힘들어하고 헐떡임이 불규칙해지거나 얕아집니다.4
  • 혈액성 구토 또는 설사: 구토물이나 설사에 피가 섞여 나옵니다 (위장관 출혈).4
  • 점상 출혈, 반상 출혈: 잇몸이나 피부에 작은 붉은 반점(점상 출혈, petechiae)이나 멍(반상 출혈, ecchymoses)이 나타납니다. 이는 혈액 응고 장애(파종성 혈관 내 응고, DIC)를 시사하는 심각한 징후입니다.3

 

표 3: 열사병 증상: 단계별 신호 알아보기

 

단계 증상
초기/경미 • 과도한 헐떡거림 (입 크게 벌림) 5
• 과도한 침 흘림 (끈적한 침)
5
• 불안, 안절부절 5
• 그늘 찾기 22
• 약간의 기력 저하, 반응 느림 5
• 짙은 붉은색 잇몸, 길게 늘어진 혀 22
• 귀 뒤로 젖힘, 눈 가늘게 뜸 22
중등도 • 눈에 띄는 기력 저하, 졸음, 쇠약 5
• 비틀거림, 균형 상실 (운동 실조) 5
• 구토 또는 설사 (혈액 없음) 5
• 잠깐씩 쓰러짐 (간헐적 허탈) 5
• 한 번의 발작 5
심각/응급 쓰러져 일어나지 못함 (허탈) 3
의식 없음, 혼수 상태 (헐떡임 멈출 수 있음) 3
반복적인 발작 3
호흡 곤란 4
혈액성 구토 또는 설사 5
잇몸/피부의 점상 출혈 또는 멍 (응고 장애) 3
주의: 심각/응급 증상 발견 시 즉시 아래의 응급 처치를 시작하고, 동시에 동물병원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6.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법: 열사병 응급 처치 (Emergency Response: Heatstroke First Aid)

반려견이 열사병 증상을 보인다면 즉각적이고 올바른 응급 처치가 생사를 가를 수 있습니다.

 

6.1. 황금률: "먼저 시원하게, 다음 병원으로" (The Golden Rule: "Cool First, Transport Second")

열사병 응급 처치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먼저 시원하게 하고, 그 다음 병원으로 이동한다"는 것입니다.7 체온이 높은 상태가 지속될수록 내부 장기 손상이 심해지고 예후가 나빠지므로 7, 동물병원으로 이동하기 전에 즉시 현장에서 체온을 낮추는 조치를 시작해야 합니다. 실제로 병원 도착 전에 보호자가 적절한 냉각 조치를 시행한 경우 생존율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34 첫 몇 분간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며, 보호자의 신속한 조치가 결정적인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6.2. 효과적인 응급 냉각 방법 (Effective Emergency Cooling Techniques)

가장 효과적인 냉각 방법은 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물은 개의 몸에서 열을 빼앗아가는 가장 효율적인 매개체입니다.

  • 즉시 서늘한 곳으로 이동: 가장 먼저 반려견을 그늘지고 시원한 장소로 옮깁니다.46
  • 물로 몸 식히기:
  • 물에 담그기 (Immersion): 가능하다면 욕조, 큰 대야, 어린이용 풀장 등에 미지근하거나 시원한(차가운 물 아님) 물을 받아 반려견의 몸 전체 또는 일부를 담그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7 연구에 따르면 수온이 주변 기온과 비슷하더라도 (약 30°C) 물에 담그는 것이 쿨링 매트나 자연 냉각보다 훨씬 빠르게 체온을 낮춥니다.32 수돗물 온도(약 15~16°C) 정도가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습니다.46
  • 물 뿌리기/적시기 (Dousing/Spraying): 물에 담글 수 없는 상황이라면, 호스나 샤워기, 물통 등을 이용해 미지근하거나 시원한 물을 반려견의 몸 전체에 계속해서 뿌리거나 부어줍니다.7 특히 배, 사타구니, 발, 머리, 목 주변은 혈관이 피부 가까이 있어 열 교환에 효과적이므로 집중적으로 적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 머리 담그기/적시기 (Head Dunking/Wetting): 평소에 훈련이 되어 있다면, 반려견이 자발적으로 물통에 머리를 담그게 하는 것이 운동 후 체온 상승을 막고 빠르게 체온을 낮추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22 훈련되지 않았더라도 반려견이 거부하지 않는다면 머리 위로 물을 부드럽게 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1 (단, 코나 입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특히 단두종이나 의식이 없는 개에게는 물을 억지로 붓지 않도록 합니다.46)
  • 증발 촉진 (Evaporative Cooling): 물을 뿌리거나 적신 후 선풍기 등으로 바람을 쐬어주면 물이 증발하면서 열을 더 효과적으로 빼앗아갑니다.7
  • 물 마시게 하기: 반려견이 의식이 있고 스스로 물을 삼킬 수 있다면 시원한 물을 소량씩 마시게 합니다.46 억지로 마시게 해서는 안 됩니다.
  • 냉각 중단 시점: 반려견의 호흡이 안정되고 헐떡임이 줄어들거나 46, 직장 체온계로 측정했을 때 체온이 약 39~39.5°C (102.2~103°F) 정도로 내려가면 적극적인 냉각 조치를 중단하고 즉시 동물병원으로 이동합니다. 너무 과도하게 체온을 낮추면 오히려 저체온증이 올 수 있습니다.

냉각 방법의 핵심은 개의 자연적인 체온 조절 경로(증발, 전도, 대류)를 최대한 활용하고 촉진하는 것입니다.2 물에 담그거나, 물을 뿌리고 바람을 쐬는 방법이 효과적인 이유는 넓은 표면적에서 물의 증발과 열 전도를 극대화하기 때문입니다.

 

6.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피해야 할 행동 (Common Mistakes and Actions to Avoid)

응급 상황에서는 당황하여 잘못된 조치를 취하기 쉽습니다. 다음 행동들은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 얼음물이나 아주 차가운 물 사용 금지: 너무 차가운 물은 피부 혈관을 급격히 수축시켜 피부로의 혈류를 차단하고 몸 중심부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합니다.6 또한 쇼크를 유발하거나, 몸이 떨리게 하여(shivering) 오히려 열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미지근하거나 약간 시원한 정도의 물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22
  • 젖은 수건으로 몸 감싸기 금지: 젖은 수건을 몸 위에 덮어두면 수건이 단열재 역할을 하여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증발을 방해하여 오히려 체온을 가둘 수 있습니다.30 젖은 수건은 몸 아래에 깔아주는 것은 괜찮습니다.46
  • 과도한 냉각 금지: 체온이 목표 범위(약 39~39.5°C)로 내려가면 냉각 조치를 중단해야 합니다. 동물병원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체온은 계속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저체온증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해열제 투여 금지: 사람용 해열제(아스피린, 타이레놀 등)는 열사병으로 인한 고체온에는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간이나 신장 손상을 악화시키거나 다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동물병원 방문 지체 금지: 가정에서의 응급 처치는 상태 악화를 막기 위한 임시 조치일 뿐, 근본적인 치료가 아닙니다. 열사병은 눈에 보이지 않는 심각한 내부 장기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1, 반드시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6.4. 즉시 동물병원으로 가야 하는 이유 (Why Immediate Veterinary Care is Crucial)

응급 처치 후 반려견의 상태가 다소 호전된 것처럼 보이더라도, 열사병은 신체 내부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고열로 인해 신장, 간, 뇌, 위장관 등 여러 장기가 손상될 수 있으며, 혈액 응고 장애(DIC), 쇼크,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 동물병원에서는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들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집중적인 수액 처치, 산소 공급, 혈액 검사, 영상 검사, 합병증에 대한 특수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6 따라서 응급 처치 후에는 반드시 신속하게 동물병원으로 이동하여 전문적인 수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결론 (Conclusion)

여름철 더위는 반려견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지만, 보호자님의 세심한 관심과 사전 준비를 통해 충분히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경각심을 갖고 예방하는 것입니다. 시원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며, 더운 시간대의 무리한 활동을 피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특히 단두종, 노령견, 비만견 등 더위에 취약한 반려견은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만약 반려견이 과열 증상을 보인다면, 초기 신호를 놓치지 않고 즉시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헐떡거림이나 무기력함 등 사소해 보이는 변화도 가볍게 넘기지 마십시오. 그리고 응급 상황 발생 시에는 당황하지 않고 "먼저 시원하게, 다음 병원으로" 원칙에 따라 효과적인 응급 처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얼음물 사용이나 젖은 수건으로 감싸는 등의 잘못된 방법은 피하고, 미지근하거나 시원한 물을 이용한 냉각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가정에서의 응급 처치는 필수적이지만, 그것이 최종 치료는 아닙니다. 열사병은 심각한 내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응급 처치 후에는 반드시 동물병원으로 이동하여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 가이드에서 제시된 정보들은 수의학 연구를 기반으로 한 실용적인 지침들입니다.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올바른 예방 및 대처법을 숙지하고 실천함으로써, 사랑하는 반려견과 함께 건강하고 즐거운 여름을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반려견의 상태에 대해 우려되는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담당 수의사와 상담하여 개별적인 조언을 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참고 자료

  1. Pathophysiology of heatstroke in dogs – revisited - PMC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800390/
  2. Pathophysiology and pathological findings of heatstroke in dogs - PMC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337213/
  3. Pathophysiology of heatstroke in dogs - revisited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9435477/
  4. Heat stroke in a Great Pyrenees dog - PMC,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48637/
  5. Proposing the VetCompass clinical grading tool for heat-related illness in dogs - PMC,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994647/
  6. Heat stroke in dogs: Literature review - PMC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295878/
  7. Cooling Methods Used to Manage Heat-Related Illness in Dogs Presented to Primary Care Veterinary Practices during 2016–2018 in the UK,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385239/
  8. Dogs Don't Die Just in Hot Cars—Exertional Heat-Related Illness (Heatstroke) Is a Greater Threat to UK Dogs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459873/
  9. Heatstroke and brachycephalic dogs – is there an increased risk? - Veterinary Evidence,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veterinaryevidence.org/index.php/ve/article/download/534/806
  10. Heatstroke and brachycephalic dogs – is there an increased risk? - Veterinary Evidence,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veterinaryevidence.org/index.php/ve/article/download/534/805?inline=1
  11. EMS Canin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Dehydration - StatPearls ...,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97364/
  12. Evaluation of Three Hydration Strategies in Detection Dogs Working ...,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662554/
  13. Dogs can sense weak thermal radiation - PMC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048925/
  14. Drugs, dogs, and driving: the potential for year-round thermal stress in UK vehicles - PMC,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419075/
  15. Risk Factors for Severe and Fatal Heat-Related Illness in UK Dogs—A VetCompass Study,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144152/
  16. Skin temperature: its role in thermoregulation - PMC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159593/
  17. Efficacy and Function of Feathers, Hair, and Glabrous Skin in the Thermoregulation Strategies of Domestic Animals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697956/
  18. Seasonal changes in heat balance of dogs acclimatized to outdoor climate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7328901/
  19. Changes in Body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High-Speed Treadmill Exercise in Beagle Dogs Measured by Infrared Thermography - PMC,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532751/
  20. Influence of pelage insulation and ambient temperature on energy intake and growth of juvenile Siberian hamster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0620157/
  21. A canine thermal model for simulating temperature responses of military working dogs,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2716889/
  22. Cooler heads prevail: New research reveals best way to prevent ...,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avma.org/news/press-releases/cooler-heads-prevail-new-research-reveals-best-way-prevent-dogs-overheating
  23. Effect of brachycephaly and body condition score on respiratory thermoregulation of healthy dog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9099251/
  24.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heat-related illness (heatstroke) in UK dogs under primary veterinary care in 2016,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303136/
  25.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heat-related illness in dogs from New South Wales, Australia (1997-2017)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7899616/
  26. Do intense weather events influence dogs' and cats' behavior? Analysis of owner reported data in Italy,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480616/
  27. A Randomized Cross-Over Field Study of Pre-Hydration Strategies in Dogs Tracking in Hot Environments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283960/
  28. Two years of combined high-intensity physical training and heat acclimatization affect lymphocyte and serum HSP70 in purebred military working dog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4903923/
  29. Environmental Heat Exposure Among Pet Dogs in Rural and Urban Settings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525463/
  30. Cooling Methods Used to Manage Heat-Related Illness in Dogs Presented to Primary Care Veterinary Practices during 2016–2018 in the UK - ResearchGate,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2436737_Cooling_Methods_Used_to_Manage_Heat-Related_Illness_in_Dogs_Presented_to_Primary_Care_Veterinary_Practices_during_2016-2018_in_the_UK
  31. Voluntary head dunking after exercise-induced hyperthermia rapidly reduces core body temperature in dogs in - AVMA Journals -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avmajournals.avma.org/view/journals/javma/262/12/javma.24.06.0368.xml
  32. Comparison of Postexercise Cooling Methods in Working Dog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0859528/
  33. Do Dog Cooling Mats Work To Keep a Dog Cool? - Rover.com,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rover.com/blog/do-dog-cooling-mats-work/
  34. A Randomized Cross-Over Study Comparing Cooling Methods for Exercise-Induced Hyperthermia in Working Dogs in Training,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705156/
  35. Clinical Evaluation of Exercise-Induced Physiological Changes in Military Working Dogs (MWDs) Resulting from the Use or Non-Use of Cooling Vests during Training in Moderately Hot Environments - PubMed Central,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494994/
  36. Clinical Evaluation of Exercise-Induced Physiological Changes in Military Working Dogs (MWDs) Resulting from the Use or Non-Use of Cooling Vests during Training in Moderately Hot Environment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6139205/
  37. Clinical Evaluation of Exercise-Induced Physiological Changes in Military Working Dogs (MWDs) Resulting from the Use or Non-Use of Cooling Vests during Training in Moderately Hot Environments - ResearchGate,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3396559_Clinical_Evaluation_of_Exercise-Induced_Physiological_Changes_in_Military_Working_Dogs_MWDs_Resulting_from_the_Use_or_Non-Use_of_Cooling_Vests_during_Training_in_Moderately_Hot_Environments
  38. Exploring Owner Perceptions of the Impacts of Seasonal Weather Variations on Canine Activity and Potential Consequences for Human–Canine Relationships,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614552/
  39. Heat Tolerance of Siberian Husky Dogs Living in Brazil: A Case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ir Owner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7685038/
  40. Post-exercise management of exertional hyperthermia in dogs participating in dog sport (canicross) events in the UK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8518416/
  41. Body Temperature Responses During Phases of Work in Human Remains Detection Dogs Undergoing a Simulated Deployment,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222851/
  42. Working Dogs Drinking a Nutrient-Enriched Water Maintain Cooler Body Temperature and Improved Pulse Rate Recovery After Exercise,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121105/
  43.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responses to heat in dehydrated dog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6703091/
  44. A Randomized Cross-Over Field Study of Pre-Hydration Strategies in Dogs Tracking in Hot Environments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2582777/
  45. Evaluation of Three Hydration Strategies in Detection Dogs Working in a Hot Environment,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29124059/
  46. Dog Heatstroke Treatment - Dog First Aid | RSPCA - RSPCA - rspca ...,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rspca.org.uk/adviceandwelfare/pets/dogs/health/heatstroke
  47. Cooling Methods Used to Manage Heat-Related Illness in Dogs Presented to Primary Care Veterinary Practices during 2016-2018 in the UK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7505869/
  48. A Randomized Cross-Over Study Comparing Cooling Methods for Exercise-Induced Hyperthermia in Working Dogs in Training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8067024/
  49. Use of extracorporeal therapy in a dog with heatstroke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34904781/
  50. Alterations in hemostasis associated with hyperthermia in a canine model - PubMed, 4월 9, 2025에 액세스, https://pubmed.ncbi.nlm.nih.gov/10911378/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리포트 at 2025. 4. 9. 13:31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