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염증 상태와 신장 기능 지표 SDMA의 연관성 분석
신 Symmetric Dimethylarginine (SDMA)는 단백질 대사의 부산물로,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생체 지표로 활용된다. 특히, 고양이 만성 신장 질환(CKD)에서 SDMA는 사구체 여과율(GFR)과 역상관 관계를 보이며, 기존의 크레아티닌 수치보다 민감한 초기 지표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앓는 일부 고양이에서 신장 기능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SDMA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단백질 이화 작용 증가와 관련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양이의 염증 상태(SAA 수치 상승으로 정의)와 혈청 SDMA 농도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그러나 염증이 있는 고양이에서 혈청 요소 및 크레아티닌 수치가 더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는 염증 상태에서 SDMA가 요소나 크레아티닌보다 사구체 여과율(GFR)을 더 안정적으로 반영하는 지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SDMA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교란 요인들이 배제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표본 크기가 작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더 큰 규모의 연구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염증이 있는 고양이의 신장 기능을 평가할 때 SDMA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용종성 방광염은 종양으로 진행되나? (1) | 2025.05.21 |
---|---|
TNR이 효과 없다고? (2) | 2025.05.18 |
반려견에게 사람 영양제 먹이지 마세요. 좀, 제발 (1) | 2025.05.05 |
고양이 장내 코로나 바이러스는 무시해도 되는가? (0) | 2025.05.04 |
심장병이라며 왜 고양이의 복부 초음파 검사를 하는거야? (1) | 2025.05.03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