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적으로 환자에 따라 임상증상이 유발되기도 하고 유발되지 않기도 한 경험이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나타내 주는 논문이 있어 소개함
우선 고양이도 포도중독이 있다는 확실한 논문이 되기에 고양이 관련 문의에 답이 될듯 함
결론적으로 임상증상이 발현되는 이상으로 발전하는 케이스는 개, 고양이 모두에서 15% 수준으로 나타난다는 말.
하지만 치료 개입이 있었기 때문에 15% 정도에서 발생한다는 말이 됨
모두에서 발현하는것은 아니라는 말임과 동시에 치료를 통해서 발생률이 낮아졌을 수 있다는 말로 해석될 수 있음.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과 신생아나 소아가 같이 지내면 좋다는 근거들 (0) | 2022.03.01 |
---|---|
여러 고양이를 키우면 고양이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가? (0) | 2022.03.01 |
고양이 알파리포산 중독 사망 증례 (0) | 2022.02.27 |
부신피질기능저하증 진단에서 뇨 코르티솔 크레아틴 비율의 이용 (0) | 2022.02.26 |
고양이에서 카페인 사용? (0) | 2022.02.26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