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세령의 개중 16% 정도가 전립선 배대의 조직학적 소인을 가지고 있고
4.1~5.0세 사이의 개에서는 50% 정도가 전립선 비대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다만 대부분이 8세 이상까지는 전립선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실제 요도의 폐색등의 이상은 발생하지 않지만
185마리중에 8마리 즉, 4.3%에서는 8세 이상에서 다시금 전립선의 크기가 커지는것이 관찰된다.
다시말해 요도의 폐색 등의 심각한 문제가 유발되는 경우는 전체의 2.15%에 달한다는 것이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컷 강아지의 중성화 수술 이유 : 고환종양의 발생율 (0) | 2022.03.24 |
---|---|
수컷 강아지의 중성화 수술 이유 : 전립선 질환의 발생율 (0) | 2022.03.24 |
심방세동 반려견의 급사율 (0) | 2022.03.24 |
반려견 간 질환과 위장관 궤양과의 관련성 (0) | 2022.03.24 |
오연성 폐렴이 발생한 개에서 모니터링 항목 (0) | 2022.03.24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