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도 폐색이 있는 고양이 168마리 (암컷94마리, 수컷 74마리)를 대상으로 조사한 논문이다.
이정도 숫자의 조사 논문은 사람 의학과는 달리 동물의학에서는 거의 확신을 가지고 신뢰할만한 거대 조사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나이, 성별, 품종, 집안 환경, 혈중 칼슘 농도 등의 요인은 요도 폐색과 아무런 관계가 없고
오직 사료의 성상 즉, 습사료와 건사료간의 차이에서 건사료를 먹는 경우 요도 폐색의 발생율이 16배 가까히 증가한다는 논문
즉, 건사료를 먹이면 1600% 더 잘 막힌다는 말이고
습사료를 먹이면 막힐 확률이 1/16으로 줄어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즉, 다른거 하지말고 습사료로 바꿔먹이라는 말이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신고혈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역성의 안면신경 마비가 있는 고양이 증례 (0) | 2022.03.28 |
---|---|
범백에 걸린 고양이는 얼마나 격리해야 할까? (0) | 2022.03.27 |
만성신부전 고양이에서 omeprazole 의 식욕 항진 능력에 관한 논문 (0) | 2022.03.26 |
고양이 외분비 췌장 부전증의 초음파 진단 검사 (0) | 2022.03.25 |
수컷 강아지의 중성화 수술 이유 : 고환종양의 발생율 (0) | 2022.03.24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