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양이에서는 정상적으로 cutaneous trunci muscle reflex(CTMR)가 일어날 수 있는데
특별한 자극 없이도 이런 CTMR이 발생하여 과도한 그루밍을 하게 만들고
이로인한 자해성 그루밍으로 인한 이차적인 피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등쪽에서 이런 감각과민증이 나타날 수 있다. (과감작증후군)
샘플 영상의 고양이가 검은 털 고양이이기 때문에 잘 알아보기 어려울 수 있으나
아무런 자극 없이도 등이 꾸물꾸물한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매우 전형적인 상태
이 증례의 경우 매우 약한 자극 이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런 감각과잉 증후군이 유발된 환자이다.
실제 유사한 방법으로 자극을 한 후 피부가 꿀렁거리는 저런 증상이 지속되는지를 보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자체는 syndrome이기 때문에 원인 불명이라 치료 방법 자체가 모호하나 신경안정관련 약물을 적용해 볼 필요는 있으나 자해성 피부질환이 있지 않는 이상 치료대상으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이 현상이 있을때 고양이가 느끼는 감각을 느끼고 싶다면
1. 정자세로 편하게 힘을 빼고 하늘을 보고 누운채 눈을 감고 있고
2. 다른 사람이 손가락 끝으로 경고 없이 배 피부를 명치에서부터 매꼽 아래까지 가볍게 긇고 내려오면
3. 발생하는 뱃근육의 반사적 수축과 동일한 감각이다.
반응형
'영상의학 검사 > 임상 증례_샘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연고 부작용 사례. (0) | 2022.08.13 |
---|---|
반드시 유치를 발치해야 하는경우 / 치아교정이 필요한 경우 (0) | 2022.06.12 |
치과 방사선 검사가 필요한 이유 sample (0) | 2022.02.24 |
고양이 천식 증상 feline asthma (0) | 2022.02.23 |
기관협착증 증상 sample : tracheal collapse , goose hongking (0) | 2022.02.23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