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8년이니 다소 오래된 논문이기는 하지만 구체화된 논문이 부족하여 자료로서 참고할만 하다.
영국에서 나온 논문인점,
오래전에 작성된 논문이기 때문에 과거의 마취 기법만을 반영하고 있는점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때문에 절대적이라고 할 수 없다.
절대적으로 마취때문이 아니라 마취 이외의 심장 질환 및 호흡기계 이상에 의해 사망한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마취전 검사가 충실하게 진행되어 심혈관계, 호흡기계 이상을 찾고 마취를 고려해야 한다는 말이된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와 고양이의 치매 발병율 (0) | 2022.07.27 |
---|---|
PSS 수술전 관리는 어디까지 하면 될까? (0) | 2022.07.27 |
고양이 전염성 신부전 (0) | 2022.07.26 |
단두종증후군은 호흡기 뿐 아니라 소화기 질환도 고려해야 (0) | 2022.07.26 |
만성 저산소성 폐질환이 있는 개에서의 적혈구증다증 (0) | 2022.07.25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