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iamed.tistory.com/187
공격성
고양이의 공격성 병리학적 원인 광견병 갑상선 기능항진증 경련 간질 중추신경계 염증 치료약물 부작용 Benzodiazepines 독성 인지장애 뇌종양 종, 특이적 특성 놀이 공포 쓰다듬에 의한 공격성 종
diamed.tistory.com
공격성이 있거나 긴장을 심하게 하는 개 고양이에서 trazodone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고양이에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개에서 급작스러운 공격성이 있는 경우에는 위 자료에서 나온것처럼 통증 즉, 신경계 이상에 의한 공격성이 있을 수 있어서
신경계 검사를 위해 트라조돈을 투약할 필요가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과연 신경계 검사의 정확성을 트라조돈 처방 후 확보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의 신경계 검사를 하기 전에는 트라조돈을 사용하지 말라는것이다.
PR 즉 postural reactions이 떨어지기 때문에 검사 신뢰도가 낮아진다는것.
물론 개를 가지고 한 논문이지만 전반적으로 신경 반응에 대한 객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양이에서도 신경계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을 것으로 추정하는게 옳은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개에서 트라조돈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사용상에 주의가 필요하고
어쩔 수 없이 사용했더라도 신경계 검사 결과를 가지고 신경질환을 룰아웃 해서는 안될것으로 보인다.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후천성 요관류 환자 케이스 (0) | 2022.09.29 |
---|---|
고양이 췌장내 비장조직? (0) | 2022.09.28 |
교근 위축증 증례 (0) | 2022.09.26 |
정용량 피모벤단과 고용량 투약의 차이 (0) | 2022.09.25 |
디스크에 의한 배변실금, 꼬리 운동성 소실 치료 (0)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