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독이나 프랜치불독, 시츄, 퍼그, 페키니즈 등에서 호발하는 연구개 노장은 주로 호흡 부전에 의한 급사 증후군의 주요 원인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늘어나 있는 연구개를 잘라서 제거해 줘야 하는데
구강 수술이다보니 출혈이 발생하면 많은 집도의의 맨탈이 살짝 빠져나갔다가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실제 국내에서는 그리 많이 하는 수술이 아닌게 되어 버렸지만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실제 많이 하는 수술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CO2 레이저나 레이저, 리가슈어 등으로도 수술을 하기는 하지만 아직 적극적인 수준으로 수술하지는 않고 있는게 사실
백문이 불여 일견이라 했던가? 일반적인 수술 과정을 보자
외과 수술 기구중 하모닉을 이용해서 연구개노장 수술은 어떠한가에 대한 논문인데 결과는 뻔히 괜찮다 니까
수술이 필요한 대상 환자가 있는경우 주저함 없이 수술을 집도해도 무방할것이다.
경험적으로 생각하는것보다 과감하게 많이 잘라내어야 개선 효과가 있고
단축등으로 인한 부작용을 너무 고려하면 오히려 재수술 횟수만 증가시켰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매개성 다발성 관절염 반려견에서의 치료 효과 (0) | 2022.11.12 |
---|---|
반려견, 고양이에서의 자몽 독성 (0) | 2022.11.08 |
혈소판증다증이 있는 개의 감별진단? (0) | 2022.11.04 |
고양이 신장 초음파상 흰색 줄이 보인다면? (0) | 2022.11.01 |
치아가 부러진 고양이가 호흡이 않좋다면? (0) | 2022.10.29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