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려견 보호자 사이에 널리 퍼져있는 믿음 중 하나는 밥을 먹을 때 식탁의 위치를 높여주면 밥 먹는데 힘이 들어가는 많은 요소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 보호자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일종의 "상식"으로 여겨졌었다. 

심지어 많은 수의사들도 이런 믿음을 가지고 있는데 거기에 대한 이점에 대한 논문은 실제 찾아볼 수가 없을 것이다. 

그 이유는 근거가 없는 인간의 상상의 소산이기 때문이다. 마치 믿음, 소망, 사랑 중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는 말이 진실인지 증명하기 위한 논문이 없는 것과 같다. 

 

이런 미신이 만들어진 이유는 첫째, 강아지에 대한 과도한 의인화로 추정된다. 즉, "사람도 밥 먹을 때 엎드려서 먹으면 힘들지 않더냐?"라는 생각에서 시작된다는 것. 하지만 생물의 진화는 가장 합리적인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원칙을 생각해 보면 강아지는 table을 사용하지 않고 바닥에 있는 음식을 먹는 게 가장 편하고 합리적이라는 쪽으로 추정하는 게 옳다. 

두 번째는 거대식도증이 나 식도 무력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식도를 수직으로 세워 먹이는 관리법을 과대 확장 해석한 결과라는 추정이다. 

식도무력증 환자의 치료시에 사용되는 식탁은 특수제작되어 완전시 사람처럼 서서 먹게 만들어져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식탁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는 교과서에서 추천되는 실제 관리법에 해당한다. https://www.msdvetmanual.com/digestive-system/diseases-of-the-esophagus-in-small-animals/dilatation-of-the-esophagus-in-small-animals

 

하지만 시중에서 판매되는 강아지 식탁은 식도의 위치는 그대로인 일반 강아지를 위한 것인데 이것들은 과연 강아지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까? 를 생각해야 한다. 

2000년도 미국수의사회 회지에 투고된 논문중 다음 논문이 있다. 

위염전 즉 GDV(gastric dilation-volvulus) 환자에서 발생 요인을 조사한 논문인데 이 질환의 발생요소 중 하나가 강아지 식탁이라고 한다. 

즉, 시중에 판매되는 강아지 식탁을 사용했을 때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GDV의 발생률을 높였다는 것이다. 

물론 이 논문의 대상이 대형견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GDV가 대형견에게 호발 되기 때문이지만 실제 소형견에서 발생하지 않는 게 아니다. 개인적으로는 시츄와 포메라니안, 퍼에서 실제 발생했던 증례를 겪어본 입장에서 발생률이 낮다고 하여 무시할 수는 없다. (GDV는 위가 꼬이는 질환으로 꼬인 후 6시간 내에 응급 개복술을 하지 않으면 사망하는 초급성 질환이다.) 

 

식탁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과학적 이점이 증명된 바가 없는 상태에서 GDV 같은 초급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추천되는 사항이다. 

 

소형견에서 GDV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시할 수는 없다.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 at 2023. 8. 27. 13:09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