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LAS에 대해서는 이전에도 여러 번 소개한 적이 있다. 

 

반복적으로 논문이 계속 나오고 있는 것을 볼 때 확실히 VHS를 대체하는 기준이 되어가는 듯하다. 

 

아무래도 편의성이 높기 때문일 것으로 보이나 아직 고양이에서의 확실한 기준이 나오지 않아서 일반적 기준으로 정착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부터 이 논문에서 정상 상한치에 해당하는 cut off를 2.2로 잡고 있다. 

 

https://diamed.tistory.com/808

 

폐수종 발생 예측력이 높은 개에서의 흉부방사선 지표

이전까지는 주로 흉부 방사선 검사상 VHS를 주로 이용했지만 https://diamed.tistory.com/91 canine and feline VHS : 개와 고양이의 심장 크기평가 In cat : 7.3-9.1 diamed.tistory.com 최근 몇 년 동안 좌심방의 크기를

diamed.tistory.com

이전 논문에서는 2.3을 폐수종 발생 가능성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삼았으니 2.2~2.3 사이에서는 폐수종에 대한 대비가 강력히 고려된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Posted in : 카테고리 없음 at 2024. 1. 3. 16:57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