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hymic epithelial tumor가 있는 64마리에 대한 조사 논문이다. 이 종양에서의 심각도 구분의 기준이 일반적으로 수의학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생경한 것이라 소개한다.
Masaoka-koga staging system이라고 한다.
조직학적 평가가 들어가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수술 후 조직검사를 기초로 스테이징을 하는 것이니 이는 병리학 업체에 의뢰할 때 스테이지 구분을 해달라고 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스테이지가 낮으면 오래 살고, 그렇지 못하면 빨리 죽는다. 즉, 수술 후 스테이징 구분을 잘하는 필요가 있다는 것
수술 이후 예후가 오랫동안 좋았다고 하니 CT 촬영상에서 수술 가능 수준이라면 적극적으로 수술에 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에서 과산화수소로 구토 유발? (1) | 2024.01.31 |
---|---|
강아지 요실금에 대한 최신 지견 (0) | 2024.01.27 |
고양이 고열, 어떤 원인들이 주요 원인인가? 발생율 비교 (0) | 2024.01.21 |
신부전 고양이에서 고혈압,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0) | 2024.01.19 |
구내염이 있는 고양이의 필수 검사 (0) | 2024.01.17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