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내염이 있는 경우 식도염이 동시에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식도와 위, 십이지장 등 상부 소화기계 이상을 평가하고 구내염 뿐 아니라 해당 부위에 대한 조직검사까지 필요하다는것.
소위 헤어볼 토라고 불리우는것이 결국 IBD의 전구 증상일 가능성이 있다는게 알려진 시점에서 더더욱 구강내 이상이 있을때 적극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시행해야 할것이다.
https://diamed.tistory.com/818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고열, 어떤 원인들이 주요 원인인가? 발생율 비교 (0) | 2024.01.21 |
---|---|
신부전 고양이에서 고혈압,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0) | 2024.01.19 |
DTM 배지를 이용한 배양, 언제까지 기다려 줘야 하나? (0) | 2024.01.15 |
고양이 안압 측정할때 자세? (2) | 2024.01.13 |
디스크는 고양이의 몇 %에서 발병할까? (0) | 2024.01.09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