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성화 수술은 고양이에서는 거의 필수적으로 시키는 수술이다. 발정이나 영역표시 관련하여 인간과의 동거, 공생을 위해서 선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신 마취가 수반되기 때문에 마취사고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들이 많이 필요하다. 이번에 나온 논문은 영국기준으로 1019마리의 중성화 수술 중에 발생한 사고들에 대한 분석을 했다. 

 

주요 결과

  • 마취 관련 사망률은 0.1% (1/1019).
  • 가장 흔한 합병증은 저혈압(22.6%), 서맥(16.7%), 저체온증(13.8%).
  • 비교적 드문 합병증으로는 저탄산증(12.7%), 과탄산증(8.7%), 빈맥(6.6%), 무호흡(3.1%) 등이 포함됨.
  • 저혈압의 위험 요인: acepromazine 사용, 높은 isoflurane 투여량, 긴 마취 시간, 낮은 체중.
  • 서맥의 위험 요인: medetomidine 사용, 긴 마취 시간, 높은 체중.
  • 저체온증의 위험 요인: 높은 isoflurane 투여량, 긴 마취 시간, 낮은 체중.

 

사망한 1마리의 고양이는 회복 단계에서 호흡 곤란이 발생한 후 급속히 심정지로 진행되었다. 이 고양이는 마취 중에 별다른 합병증이 기록되지 않았고, 기저질환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기도 폐쇄나 경련이 사망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사망 환자가 단 1마리이기 때문에 0.1% 이지만 N 수를 1000여 마리가 아니라 10000 단위로 높이면 오히려 사망률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Posted in : 진료 도움 자료 at 2024. 11. 30. 18:45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