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측정위치

 

측정의 기준 DE값은 Fig2의 d값에 해당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 결과

  • DE: 건강한 고양이의 좌측 횡격막 평균 DE는 0.66 ± 0.16cm, 우측은 0.64 ± 0.18cm였으며, 질병이 있는 고양이에서는 좌측 0.43 ± 0.17cm, 우측 0.48 ± 0.20cm로 유의하게 낮았습니다.
  • ROC 분석: 좌측 횡격막의 DE 기준값은 0.458cm로, 민감도 75%, 특이도 86.36%를 보였습니다. 우측 횡격막은 기준값 0.423cm, 민감도 41.67%, 특이도 100%를 보였습니다.
  • 내재적 요인: 성별, 나이, 체중 등의 요인이 DE, Tdi, DTF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논문에서 제시한 cutoff value는 다음과 같습니다:
  • 좌측 횡격막(DE): cutoff value는 0.458 cm로, 민감도는 75%, 특이도는 86.36%입니다. 좌측 횡격막 DE의 진단 정확성을 나타내는 ROC 곡선의 AUC는 0.846입니다.
  • 우측 횡격막(DE): cutoff value는 0.423 cm로, 민감도는 41.67%, 특이도는 100%입니다. 우측 횡격막 DE의 AUC는 0.704로 좌측보다 낮으며, 이는 건강한 개체 식별에 탁월한 특이도를 보이지만 질병 고양이 식별에서는 민감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덜 유용합니다​.

 
DE의 증가 및 감소에 따른 감별 진단 리스트

DE가 감소하는 질환 및 상태

횡격막의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에서는 호흡기 운동과 공기 흐름에 제한이 발생하며, 이는 횡격막이 충분히 수축 및 이완하지 못하거나, 횡격막 근육이 약화된 경우에 해당됩니다.
  1. 횡격막 마비 및 신경 손상
    • 횡격막 마비: 척수 손상 또는 횡격막을 조절하는 **횡격막 신경(Phrenic nerve)**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횡격막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호흡에 어려움이 생깁니다.
    • 신경근 장애: 루게릭병(ALS)과 같은 신경근 장애는 신경 신호가 약해져서 횡격막이 충분히 움직이지 못하게 합니다.
  2. 호흡기 및 폐 질환
    • 간질성 폐질환(Interstitial Lung Disease): 폐 조직의 염증 및 섬유화로 인해 폐의 탄력성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횡격막의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 천식(Asthma): 폐의 기도에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과 기도 수축으로 인해 횡격막이 과도하게 활동하게 되어 점진적으로 근육이 피로해지고 약화될 수 있습니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는 폐의 탄력 감소와 폐 과팽창이 횡격막을 약화시킵니다.
  3. 염증 및 감염성 질환
    • 근염(Myositis): 횡격막에 발생한 근육 염증은 기능을 저하시켜 정상적인 호흡이 어렵게 만듭니다.
    • 횡격막염(Diaphragmatitis): 감염성 염증이 횡격막에 발생하여 이완과 수축이 제한됩니다.
  4. 흉강 내압 증가 상태
    •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 흉강에 액체가 축적되어 횡격막이 상승하고 충분히 움직이지 못합니다.
    • 흉막염(Pleuritis): 흉막 내 염증으로 인한 통증과 염증이 횡격막 운동을 저하시킵니다.
  5. 복부 질환
    • 복부 비대 및 복수(Ascites): 복강 내에 체액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횡격막이 위로 밀려 이동 범위가 제한됩니다.
    • 비만(Obesity): 복부 지방이 횡격막을 위로 압박하여 움직임을 제한합니다.
  6. 기타 신체적 요인
    • 근육 위축(Muscle Atrophy): 장기간의 활동 제한이나 영양 부족으로 인해 횡격막 근육이 약화됩니다.
    • 만성 호흡 부전: 만성적인 호흡기 손상으로 인해 횡격막의 기능이 점차적으로 약화됩니다.

DE가 증가하는 질환 및 상태

반대로, 횡격막 기능이 일시적으로 과활성화되거나 증가하는 상태에서는 횡격막이 과도하게 움직이며, 이는 주로 체내 산소 부족이나 호흡에 더 많은 힘이 필요할 때 발생합니다.
  1.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 산증 상태에서는 체내 이산화탄소 수준이 높아져, 이를 보상하기 위해 호흡이 촉진되고 횡격막의 움직임이 증가하게 됩니다.
  2. 급성 스트레스 및 흥분 상태
    • 급성 스트레스나 흥분 시 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면서 호흡이 빨라지고 횡격막의 운동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저산소증(Hypoxemia)
    • 체내 산소가 부족할 때 호흡 속도가 증가하고 횡격막이 더 깊이 움직이게 됩니다. 이는 특히 고산지대에 있거나 기도가 막히는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호흡성 산증(Respiratory Acidosis)
    •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횡격막이 더 많은 운동을 통해 이를 배출하려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기도 폐쇄나 저환기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과호흡증후군(Hyperventilation Syndrome)
    • 과호흡으로 인해 횡격막이 반복적으로 자극받고, 이로 인해 횡격막의 움직임이 과도하게 증가합니다. 긴장이나 불안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중증 천식 발작(Severe Asthma Attack)
    • 천식 발작 중 기도가 좁아지며 횡격막이 공기를 들어마시기 위해 더 강하게 움직입니다. 이로 인해 횡격막에 일시적인 과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
  7.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 ARDS는 급성 폐손상으로 인해 체내 산소가 부족해져 횡격막이 보상적으로 더 큰 운동을 하게 되는 상태입니다.
이와 같이 횡격막 기능 장애는 다양한 원인과 상태에서 나타나며, 횡격막 운동이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며, 초음파나 추가적인 호흡기 검사를 통해 기능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양이 천식에서의 의의

  •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서는 좌측 횡격막 DE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진단 신뢰도를 가지며, DD와 관련된 이상을 감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좌측 DE는 민감도와 특이도의 균형이 잘 맞아 천식이 있는 고양이를 선별하고, 정상 고양이를 배제하는 데 적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임상 적용

  • 고양이 천식 환자에서 좌측 횡격막 DE가 0.458 cm 이하로 측정된다면 DD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추가적인 진단 및 치료를 계획할 수 있습니다.
  • 우측 DE는 특이도가 매우 높아 정상 개체를 배제하는 데 유리하지만, 민감도가 낮아 단독으로 천식을 진단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결과는 좌측 DE가 고양이 천식 및 기타 DD 관련 호흡기 질환 진단에서 중요한 초음파적 매개변수임을 보여줍니다.
반응형
Posted in : 진료 도움 자료 at 2024. 11. 22. 18:30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