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김학현 교수팀에서 작성한 논문이다.
Leptin과 adiponectin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완전 초기 논문으로
현재 이 논문에서 적용된 케이스 자체가 10케이스 밖에 되지 않아 통계적 유의성이 강하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향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자료를 확보하면 지금까지 보통 사용되었던 creatine이나 SDMA를 대체 혹은 보완할 평가 기준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문의사항은 충북대 김학현교수에게 직접 연락해보면 도움이 될듯.
케이스가 충분히 확보되어 직선이 이쁘게 나오기를...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천식약 중독 사례 (0) | 2022.08.01 |
---|---|
중성화수술된 수컷개가 만성적으로 여성호르몬에 노출된다면? (0) | 2022.07.31 |
개홍역의 골격계 후유증 (0) | 2022.07.29 |
원발성 면역매개성 혈소판감소증에서 비장을 적출해야 하는 이유. (0) | 2022.07.28 |
개와 고양이의 치매 발병율 (0) | 2022.07.27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