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론부터 말하자면 현재까지는 감염될 확률은 희박한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개나 고양이에 의해 전파되지 않는점도 언급되어야 한다.
물론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환자가 접촉한 반려견이나 반려묘의 털에 환자의 체액이 남아 묻어 있는경우 이를 접촉하면 전달되어 감염될 수 있으니
원내 보호자가 감염의심 환자인 경우 강아지에 대해서도 철저한 위생 방어를 해야 할듯 하다.
미국 질병관리청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지만 위험성(돌연변이)을 배제할 수 없으니 주의하라고 고지하고 있다.
결국 인간이 가장 위험하니 인간을 조심하는게 먼저라는것.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포폴 투약에 의한 골격근융해와 근색소뇨 (0) | 2022.08.12 |
---|---|
반려견/고양이 둥글레차 독성 (0) | 2022.08.12 |
고양이 아토피 환자의 소양감 치료제 (0) | 2022.08.11 |
반려견/고양이를 죽이는 식빵? 오뚜기 진비빔면? 타르타르 크림과 타마린드 (0) | 2022.08.10 |
구토 하는 고양이에서 내시경을 꼭 해야 하는 이유 (0) | 2022.08.08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