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부분 부신 관련된 질환은 개에서만 주로 거론하고 고양이에서는 거의 거론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결국 개에서는 매우 호발하지만 거기에 반해 고양이는 매우 드물다는것을 반증한다.
하지만 진료를 보는 수의사라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생각하는 가변적 습성이 필요하니 고양이에서는 "없다" 라고 단정지어 버리고 배제하지 말고 "있을 수도 있다" 라는 생각을 마음 한켠에 담아 둘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런 희귀한 질환을 감별진단 최일선에 두는 무리를 둬서는 안되는것도 꼭 명심할것.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회음허니아 수술의 예후 (0) | 2022.10.19 |
---|---|
반려견의 정형외과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처치 (0) | 2022.10.18 |
개에서 회맹장 중첩 치료를 위한 관장 근거 논문 (0) | 2022.10.16 |
단백소실성 장질환 강아지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것? (0) | 2022.10.15 |
고양이 디스크 질환의 발생에 대한 논문 (0) | 2022.10.14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