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간 개에서 회맹장 중첩이 발생하는 경우 수술적으로 접근하여 치료하는게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거의 대부분의 수의사들도 사람 소아과에서는 중적이 발생했을때 관장을 통해 치료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었지만
쉬 개에서 적용하지 못했던 이유는 그 시술이 비록 소아과에서는 적용되었던 시술이나
개에서는 적용해도 되는지에 대한 근거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 근거 논문이 나왔으니
1케이스에 대한 증례이나 이를 근거로 시도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법적 소송을 대응할 근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물론 단일 케이스이니 충분한 부작용에 대한 연구는 후향적으로 더 필요할것이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정형외과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처치 (0) | 2022.10.18 |
---|---|
고양이 원발성 부신피질기능저하증 (0) | 2022.10.17 |
단백소실성 장질환 강아지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것? (0) | 2022.10.15 |
고양이 디스크 질환의 발생에 대한 논문 (0) | 2022.10.14 |
견갑골 제거 고양이의 삶의 질 (0) | 2022.10.13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