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ligodendroglioma 즉, 희소돌기아교세포종이 있는 개에서 MRI를 찍었을때 조직학적 grade를 MRI로 구분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 시작된 논문이다.
MRI만 찍더라도 조직검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는다면 현재로서는 예후평가의 기준으로, 향후에는 다양한 치료 옵션을 만들어 낼수 있기에 이런 논문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물론 아직 뇌에 대한 학문적 단계는 수의학에서 매우 기초적인 수준이니 아직은 아쉬운대로 이런 새소식은 관심있게 볼것.
위 표가 결국 이 논문의 가장 핵심인 내용이다. grade가 높으면 당연히 불량하다는 의미이니 참고하시길.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음경절단술의 예후 (0) | 2022.12.02 |
---|---|
고양이 미세변화 증후군 / 신증후군 (0) | 2022.11.30 |
탈모치료제 미녹시딜에 의한 개와 고양이 독성 (0) | 2022.11.27 |
diltiazem의 정맥 투여가 정상 개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2.11.26 |
발치 후 의료용 꿀 적용 (0) | 2022.11.24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