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동물병원협의회에서 발간한 2021년 논문이다.
약물을 적용한 사람의 두피를 핥거나 한방울 동물에게 떨어지는것 정도의 소량만으로도 독성이 나타났다고 하며
대략 55~60% 정도에서 심각한 수준의 증상이 나타났고 전체 12.9%가 사망했다고 하니
독성이 매우 강한 약물로 분류해야 한다.
주 증상이 심각한 수준의 저혈압이다. (저혈압성 쇽이 주증일것이며 이로서 기절 증상이 나타날 수 있거나 심혈관계 장애로 수분 내에 사망하는게 주 증상이다.)
또한 폐수종 및 이에 대한 전구 증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기침, 호흡곤란 또한 주요 증상중 하나이다.
이 저혈압에 의한 심혈관계 손상이 발생하고 이 후 사망을 한다.
사용은 90년대부터 사용된 약물인데 최근에야 그 독성에 대한 보고, 치료에 대한 보고가 이뤄지고 있는상태이다.
위 논문은 경상대학교 정동인 교수실에서 나온 논문이니 자세한 내용과 문의는 국립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정동인 교수 연구실로 하면 될듯 하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미세변화 증후군 / 신증후군 (0) | 2022.11.30 |
---|---|
oligodendroglioma가 있는 개에서의 MRI 특징 (0) | 2022.11.28 |
diltiazem의 정맥 투여가 정상 개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2.11.26 |
발치 후 의료용 꿀 적용 (0) | 2022.11.24 |
강아지 심내막염의 유병율 : 생각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0) | 2022.11.22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