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S는 소동물 심장의 크기 평가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정확히는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논문작성시 통계 처리를 하기 위한 수치화 작업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임상에서 적용하기에 DICOM viewer에 따라 VHS를 일일이 계산하는게 어려운 점이 생기기도 하고
DICOM 파일이 아닌 jpeg 파일을 이용한 판독시에는 불편한 부분이 많은 검사이기도 하다.
DICOM viewer를 볼때 VHS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여러 지표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번 소개되는 논문에서는
심장의 장축과 단축을 각각 척추체의 길이로 치환하는게 아니라
두 숫자의 크기를 합하여 척추체 4~8번을 각각 나눴을때 VHS와 어느정도 상관성을 갖는가에 대한 논문이다.
예상했겠지만 이런 논문의 결론은 좋다 일것이다.
결론의 해석은 개와 고양이의 VHS를 동일하게 사용한다.
이외에도 심장의 크기를 숫자로 평가하려고 하는 수많은 노력들이 있는데
이런것도 있고
이런것도 있다.
여러가지 선들을 그어가면서 새로운 지표들이 부지불식간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런 지표들이 좀더 정확도가 높고 객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약간 삐딱한 시선으로 보자면 대학원생 졸업시키기 위해 억지로 지표를 만드는 경우도 종종 있기에 너무 새로운 방법이라고 맹신해서는 안된다는것이다.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질환의 중위 생존 시간 (지속 업데이트 예정) (0) | 2023.06.08 |
---|---|
이젠 동물에서도 방사선 치료기 적용. (0) | 2023.06.06 |
고지혈증이 있으면 담낭이 마이아파~ (0) | 2023.06.02 |
고양이 침윤성장질환과 장종양의 구분 방법 (0) | 2023.05.30 |
별놈의 지방종, 고양이 견갑골 뼈속부터 지방종? (0)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