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단은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얼마나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문이 이번에 나와서 소개한다.
결론부터 보자면 씨앗 이물로 판단되는 이질적 선상의 구조물의 길이를 0.83cm 이상을 기준점으로 잡았을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높았다는것.
그러나 반드시 기억해야 할것은 초음파를 통해 진단이 안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경험적으로는 어떤 경우라도 씨앗이물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외과적으로 접근하여 세척하는것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치료되었다는것.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넌 어디까지 꼬여봤니?_공장염전 (0) | 2023.08.11 |
---|---|
반려견의 담낭벽 두께 (0) | 2023.08.07 |
방사선상 담낭 밀도가 증가하면? (0) | 2023.08.01 |
신부전 개에서 GFR 추정방법? (0) | 2023.07.28 |
교착성심낭염이 발생한 강아지는 치료가 가능할까? (0) | 2023.07.26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