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실 이런 기초적인 연구가 오히려 수의학에서는 잘 이뤄지지 않은 경향을 보이곤 한다.
특히 담낭 관련해서는 그러한 경향이 더 큰데, 비특이적인 경우와 질환 상태인데도 정상으로 보이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이번 논문은 초음파 검사로 본 정상개에서 담낭벽의 정상 두께를 측정한 논문인데 아직 질환 상태일때는 얼마나 두꺼워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아 참고사항에 해당할 뿐이란걸 명심해야 한다.
빨간 선이 1.3mm 기준이고
이전까지 국내 소형견에서는 벽이 안보이는게 정상이라고 이야기 했던것에 비해 상당히 더 관대해지는 진단기준이라고 봐도 될듯 하다.
다만 복수, 부종 등에 의한 이차성 벽 직경 증가 소견은 질환 상태의 직경에 따른 cut off가 만들어지면 거론할 수 있는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고양이에서 연속혈당계 결과 해석 주의점 (0) | 2023.08.15 |
---|---|
넌 어디까지 꼬여봤니?_공장염전 (0) | 2023.08.11 |
개발종기증과 풀씨 이물 병변은 초음파로 구분할 수 있는가? (0) | 2023.08.05 |
방사선상 담낭 밀도가 증가하면? (0) | 2023.08.01 |
신부전 개에서 GFR 추정방법? (0) | 2023.07.28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