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담낭결석 수준이 아니라 연부조직 밀도인 담낭이 무기질까지는 아니어도 밀도가 상승하여 대략적으로 담낭의 위치가 방사선 검사상 보일때 이걸 임상적 의미를 두고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오랜동안 있었다.
거기에 대한 원론적인 논문이 경북대학교 이기자교수실에서 나왔다.
결론만 말하자면
임상적 의미를 두어야 한다는것.
담낭점액종이야 당연히 임상적인 의미가 있고 sludge ball이나 다량의 침전물이 구토나 설사 등 비특이적인 임상증상을 보일 수 있다는것이 이전에도 자주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https://diamed.tistory.com/453
sludge ball은 담낭의 수축력과 관계하여서 비특이적인 소화기 증상을 유발하니 의미가 있다.
물론 임상에서 방사선 검사만으로 진단을 끝내는게 아니라 방사선 소견을 근거로 초음파 검사를 통해 한발짝 더 들어갈 것이기 때문에 방사선을 잘 못본다고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담낭벽 두께 (0) | 2023.08.07 |
---|---|
개발종기증과 풀씨 이물 병변은 초음파로 구분할 수 있는가? (0) | 2023.08.05 |
신부전 개에서 GFR 추정방법? (0) | 2023.07.28 |
교착성심낭염이 발생한 강아지는 치료가 가능할까? (0) | 2023.07.26 |
간에 생긴 지방종이 있는 강아지 증례 (0) | 2023.07.24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