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론부터 말하자면 제목처럼 체질량이 연관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단두종 품종에서 저혈압이 잘 발생한다고 한다. 필드에서 일하는 수의사들 대부분은 당연하다 혹은 이미 알고 있는 진부한 이야기로 여기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거 자료가 되는 점에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는 논문.
단두종의 구분은 아래 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https://diamed.tistory.com/203
또한 단두종이어서 발생하는 질환들은 여럿 있는데
https://diamed.tistory.com/430
https://diamed.tistory.com/626
https://diamed.tistory.com/462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췌장염이 있는 반려견의 예후 평가 지표 (0) | 2023.10.22 |
---|---|
반려견 폐동맥 폐동맥 협착증 진단의 새로운 지표 (0) | 2023.10.18 |
반려동물이 치매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근거 (0) | 2023.10.15 |
카바리어 킹찰스 스파니엘에서 피모벤단의 사용 (0) | 2023.10.14 |
만성신부전 고양이의 빈혈에서 EPO 투여전에 고려해야 하는 신약? (0) | 2023.10.12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