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적인 급성신부전 환자의 관리는 아래와 같다.
급성신부전 환자에서 적절한 수액 요법은 매우 중요합니다. 1. 혈량 유지: 급성신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신장으로의 혈류량 감소입니다. 적절한 수액 공급을 통해 혈관내 용적을 유지하고 신장 관류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2. 전해질 불균형 교정: 신부전 시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전해질 불균형이 흔히 동반됩니다. 수액 요법을 통해 이를 교정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요독증 개선: 수액 공급으로 소변량을 증가시켜 노폐물과 독성 물질의 배설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요독증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4. 적절한 수액 선택: 등장액(생리식염수 등)을 우선 사용하되, 환자 상태에 따라 교질액(알부민 등)의 사용을 고려합니다. 고칼륨혈증이 동반된 경우 칼륨 함량이 낮은 수액을 선택합니다. 5. 수액 균형 모니터링: 투여량과 배설량을 면밀히 관찰하여 체액 과다나 부족을 예방해야 합니다. 특히 심부전, 폐부종 등의 위험이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6. 신대체요법과의 병행: 신기능이 회복되지 않거나 악화되는 경우, 수액 요법과 함께 투석 등의 신대체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수액 요법은 급성신부전의 예후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요구에 맞게 세심하게 계획하고 시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그런데 최근 몇년동안 급성신부전 환자에 대한 치료 부분에서 수액처치가 과도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논문들이 여럿 나오고 있다. 그 대표적인 논문이어 소개한다. 인체의학 논문이라 직접적으로 동물의학에 적용할 수 는 없으나 이전 신테칸1에 대한 논문과 결합하여 해석하면 앞으로 상당히 많은 반향이 있을 주제인듯 하다.
논문을 요약하자면
급성 신장 손상(AKI) 환자에게 수액 소생은 일반적으로 시행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수액 과부하가 흔하며 AKI 환자에게 좋지 않은 결과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 연구는 AKI 환자의 사망률 및 신장 회복과 관련된 수액 과부하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 Google Scholar 및 중국 데이터베이스(SinoMed)에서 2015년 1월까지 발표된 코호트 또는 사례 대조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주요 결과는 사망률 및 신장 회복이었습니다. 그 결과, 수액 과부하와 AKI 환자의 사망률 사이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패혈증 및 비패혈증 하위 그룹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평균 수액 균형(연속 변수)과 사망률 사이에도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습니다. 수액 과부하 그룹에서 신장 회복률이 낮은 경향이 있었지만, 수액 과부하와 신장 회복 또는 투석 의존성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수액 과부하는 AKI 환자의 사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수액 과부하와 신장 회복의 관계에 대한 증거는 불충분합니다. |
다시말해 수액 과부하는 환자의 사망위험을 증가 시키는데, 그렇다고 딱히 사망하지 않은 환자에서 신장의 회복과 연관이 높지도 않다는것.
결국 수액 처치는 적당히 하는것이 중요하다는 말이 될것이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에서 금속 이물 내시경으로 꺼낼때 팁 (0) | 2024.07.07 |
---|---|
고양이 장 림프종, 장간막림프절만 검사하면 안되나요? 예. 안됩니다. (1) | 2024.07.05 |
단백소실성장질환(PLE)환자의 입원중 사망률 (1) | 2024.07.01 |
기관협착증 환자에서 스텐트 삽입은 안전한가? (0) | 2024.06.29 |
수액처치가 과도해서도 급성신부전이 유발될 수 있는가? (0) | 2024.06.27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