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DC1은 신데칸-1(syndecan-1)의 약자로, 내피 당질층(endothelial glycocalyx)의 손상을 나타내는 확립된 표지자입니다. 내피 당질층은 모든 혈관을 감싸는 망상 구조로, 혈압 조절, 조직 관류 유지, 염증 시 면역 반응의 세포 피드백 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DC1은 내피 당질층의 상당 부분을 구성하는 단백질 다당류입니다. 건강한 상태에서는 SDC1을 포함한 다양한 분자가 재건되고 탈락되는 균형이 지속적으로 유지됩니다. 그러나 질병 상태에서는 염증으로 인해 단백질 분해 효소가 과잉 발현되어 SDC1이 분해되고 혈액으로 방출되는 양이 증가합니다. |
신데칸은 혈관내피의 손상 정도를 지표 한다고 볼 수 있어, 급성 신부전의 지표자로 여겨진다. 그렇다면 마취 후 급성 신부전이 유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래서, 아이소플루란과 세보플루란 중에 어떤 게 더 안전할까? 를 알아보고자 했을 것이다.
의외의 결론이 나왔는데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취 자체보다는 수액 투여량이 신데칸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즉, 수액 투여량이 신데칸의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본문에서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급성신부전의 발생의 가능성이 수액투여량의 증가 때문일 수 있다는걸 시사한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수액량이 적은 상태 즉, 탈수가 오는 경우 신장의 관류량이 감소하여 급성 신부전이 유발될 수 있다는것은 상식에 가까운 생각이었다. 이게 부정되는 것은 아니라 세상만사 적당히가 가장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소실성장질환(PLE)환자의 입원중 사망률 (1) | 2024.07.01 |
---|---|
기관협착증 환자에서 스텐트 삽입은 안전한가? (0) | 2024.06.29 |
MRI가 정상이라고 특발성 뇌척수염(MUE)을 배제하지 말라. (0) | 2024.06.25 |
고양이 헤모플라즈마 감염증에 관심을... (0) | 2024.06.23 |
특발성 간질 강아지에서 zonisamide의 단독 투약 (0) | 2024.06.21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