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자료는 멀티플이 적용되지 않아 검사의 왜곡이 있습니다. 멀티플의 적용한 자료를 다시 수정하여 배포합니다. 

https://diamed.tistory.com/1295

 

반려견의 치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멀티플 적용

우리나라에 유통되고 있는 치매 자가진단표에서 대부분이 멀티플을 적요하고 있지 않은 문제가 발견되어 새 버전으로 자료 작성하고 공유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파트 1: 행동 빈도 평가질문없

diamed.tistory.com

파트 1: 행동 빈도 평가

질문 없음 월 1회 주 1회 일 1회 하루 1회 초과
당신의 개는 얼마나 자주 서성거리거나, 원을 그리며 돌거나, 목적 없이 배회하나요? 1 2 3 4 5
당신의 개는 얼마나 자주 벽이나 바닥을 멍하니 쳐다보나요? 1 2 3 4 5
당신의 개는 얼마나 자주 장애물 뒤에 끼어 빠져나오지 못하나요? 1 2 3 4 5
당신의 개는 얼마나 자주 익숙한 사람이나 다른 반려동물을 알아보지 못하나요? 1 2 3 4 5
당신의 개는 얼마나 자주 벽이나 문에 부딪히나요? 1 2 3 4 5
당신의 개는 얼마나 자주 쓰다듬는 것을 피하거나 도중에 가버리나요? 1 2 3 4 5

 

파트 2: 특정 행동 빈도 평가

질문 전혀 없음 1-30% 31-60% 61-99% 항상
당신의 개는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찾는 데 얼마나 자주 어려움을 겪나요? 1 2 3 4 5

 

파트 3: 6개월 전과 비교한 행동 변화 평가

질문 훨씬 줄어듦 약간 줄어듦 변화 없음 약간 늘어남 훨씬 늘어남
6개월 전과 비교하여, 당신의 개가 서성거리거나, 원을 그리며 돌거나, 목적 없이 배회하는 행동이 어떻게 변했나요? 1 2 3 4 5
6개월 전과 비교하여, 당신의 개가 벽이나 바닥을 멍하니 쳐다보는 행동이 어떻게 변했나요? 1 2 3 4 5
6개월 전과 비교하여, 당신의 개가 이전에 깨끗하게 유지하던 장소에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 행동이 어떻게 변했나요? (배변 실수를 한 적이 없다면 '변화 없음'에 표시) 1 2 3 4 5
6개월 전과 비교하여, 당신의 개가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행동이 어떻게 변했나요? 2 4 6 8 10
6개월 전과 비교하여, 당신의 개가 익숙한 사람이나 다른 반려동물을 알아보지 못하는 행동이 어떻게 변했나요? 3 6 9 12 15

 

파트 4: 6개월 전과 비교한 활동량 변화 평가

질문 훨씬 늘어남 약간 늘어남 변화 없음 약간 줄어듦 훨씬 줄어듦
6개월 전과 비교하여, 당신의 개가 활동적으로 보내는 시간은 어떻게 변했나요? 1 2 3 4 5

파트 1~4의 각 질문에 대한 답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총점 80점)

점수 구간별 평가

  • 50점 이상: 개 인지기능장애(CCD) 의심, 양성 예측도 (PPV): 77.8%  
    • CCDR 척도에서 총점이 50점 이상인 경우, 개 인지기능장애(Canine Cognitive Dysfunction, CCD)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 이 50점이라는 기준은 수의사에게 공식적으로 '치매(DEM)' 진단을 받은 개들 중 가장 낮은 점수에 해당합니다.
    • 따라서 이 점수대의 개는 행동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다른 질병이 있는지 수의사의 종합적인 평가를 받아야 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최종 진단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이 점수는 확정 진단이 아닌, 정밀 검사가 필요함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49점 이하: 정상 노화 범위, 음성 예측도 (NPV): 99.3%

  • 총점이 50점 미만인 경우는 인지 기능 장애가 없는, 즉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 있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 이 점수대의 개들은 인지기능장애로 의심되는 심각한 행동 문제를 보이지 않는 그룹에 속합니다.

추가 정보: 점수 변화의 의미

이 연구는 점수의 절대적인 수치 외에 시간 경과에 따른 점수 '변화'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합니다.
  • 동일한 보호자가 일정 기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검사했을 때,
    점수가 4점 이상 변동이 있다면 이는 행동학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진행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추적하는 데 척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양성 예측도 (PPV): 77.8%
    이 척도에서 50점 이상으로 나온 개가 실제로 인지기능장애(CCD)를 앓고 있을 확률입니다.
  • 음성 예측도 (NPV): 99.3%
    이 척도에서 50점 미만으로 나온 개가 실제로 인지기능장애가 없을 (정상일) 확률입니다.

 

 

 

https://diamed.tistory.com/495

 

노령견에서 청력의 중요성 : 치매와 삶의 질

사람은 보통 시각 의존적 동물이기 때문에 시력이 약화되면서 삶의 질에 큰 변화를 느낀다. 하지만 변려견의 경우 사람에 비해 원래 시력이 상당히 약한 편이기 때문에 실제 시각의존적이지 않

diamed.tistory.com

https://diamed.tistory.com/470

 

개와 고양이의 치매 발병율

반려견의 경우 11~12세에 전체 28% 정도가 치매 유병율을 보이며 15~16세 이후에는 68%가 치매 증상을 보인다고 한다. 고양이의 경우 11~14년령에서 28%가 치매와 관련한 행동장애를 보이며 15세 이후에

diamed.tistory.com

반응형
Posted in : 진료 도움 자료 at 2022. 2. 19. 18:07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