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양이 심장 초음파 검사를 할때면 대다수가 E,A peak가 합쳐져 버린다. 이때 약물을 통해 심박수를 낮출 수는 있지만 통상 약물에 대한 보호자의 거부때문에 약물 투여는 하지 못하는경우가 대부분이다. 

약물 이외의 방법으로 심박수를 낮추는 방법은 없겠는가? 있다면 어느정도 효과일까? 가 이 논문의 핵심 주제다. 

 

안구압박법과 인중압박법을 제시하여 평가하고 있다. 

 

 

방법 안구 압박 인중
자극 부위 닫힌 눈꺼풀 위의 안구
코 주변의 털이 없는 부분(비익) : 인중
자극 방식 부드럽게 누르기 부드럽게 마사지
효과 심박수 감소, 융합된 도플러 파형 분리
심박수 감소, 융합된 도플러 파형 분리
성공률 심박수 감소: 100%, 파형 분리: 71%
심박수 감소: 100%, 파형 분리: 72%
지속 시간 짧음 (일반적으로 20초 미만)
짧음 (일반적으로 15초 미만)
장점 빠르고 즉각적인 효과, 비침습적, 안전, 간편
빠르고 즉각적인 효과, 비침습적, 안전, 간편
단점 압박 강도 조절 필요, 개체 차이 존재, 효과 지속 시간 짧음
자극 강도 조절 필요, 개체 차이 존재, 효과 지속 시간 짧음
기타 양쪽 눈 압박이 더 효과적, 안와 주변 압박 중요
고양이 비익은 자극에 민감, 안구 압박과 병행 효과적

당연하게도 모든 고양이에서 효과가 있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선이 안될 경우 약물 처치가 필요하다.
발생의 기전

그림 5는 '안구-심장 반사 (Oculo-cardiac reflex)'와 '비강-심장 반사 (Nasal-cardiac reflex)'의 발생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이 두 반사는 미주 신경 자극(vagal maneuver)을 통해 유발되며, 궁극적으로 심박수 감소를 초래합니다. 그림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심성 경로 (Afferent pathways)
  • Trigeminal nerve (삼차 신경): 안구 압박이나 비강 자극과 같은 외부 자극은 Trigeminal nerve를 통해 뇌로 전달됩니다. 안구 압박은 안구 주변 조직의 압력 수용체를 통해 감지되고, 비강 자극은 코 주변 털이 없는 부분(rhinarium)의 기계적 수용체(mechanoreceptor)를 통해 감지됩니다.
  • Trigeminal nuclei in the brainstem (뇌간의 삼차 신경 핵): Trigeminal nerve를 통해 전달된 감각 정보는 뇌간의 Trigeminal nuclei으로 전달됩니다.
2. 원심성 경로 (Efferent pathways)
  •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미주 신경 등쪽 핵): Trigeminal nuclei에서 처리된 정보는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으로 전달됩니다.
  • Vagus nerve (미주 신경):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은 심장으로 향하는 Vagus nerve을 통해 신호를 보냅니다.
  • Sinoatrial node of the heart (심장의 동방 결절): Vagus nerve을 통해 전달된 신호는 심장의 Sinoatrial node에 작용하여 심박수를 감소시킵니다.
반응형
Posted in : 진료 도움 자료 at 2024. 8. 28. 18:06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