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의사들에게는 생소한 혈청 바이오마커인 zonulin이 개에서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 시행된 논문
결론부터 말하자면 의미 없다이다.
개인적으로 장 질환의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가 만들어지고
그 지표를 통해 어떤 치료 반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약물 농도 조절에 도움이 많이 될것이라 생각되지만
사람에서 효과적인 검사라고 하여 동물에게 반드시 도움이 되는것은 아니라는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논문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계통 보호자의 질문에 대한 대응용으로 상식선에서 알고 있으면 될듯한 논문.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발성 비 미란성 면역매계 다발성관절염에서 단백뇨의 관계? (0) | 2022.05.14 |
---|---|
진통제인 카프로펜 중독 반려견에서 혈장교환술의 효과 (0) | 2022.05.13 |
갑상선기능항진증과 만성신부전을 동시에 앓는 고양이 (0) | 2022.05.07 |
IMHA에서 혈장교환술의 적용. (0) | 2022.05.06 |
고양이 사료 vs 집밥? (0) | 2022.05.05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