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화혈색소 즉, HbA1c 는 많은 수의사들이 당뇨의 진단과 관리 부분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또한 프록토사민의 위양성, 위음성으로 인하여 당화혈색소마저 유사한 견지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프록토사민에 비해 검사결과의 균질성과 신뢰도가 높다는것은 오래전에 증명된 바인데

당뇨 이외의 용혈성 빈혈 환자에서도 (IMHA) 당화 혈색소가 진단과 모니터링에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것을 증명하는 논문이 나왔다.

긴말이 필요 없을 그림 한장을 보면 사실 이야기는 끝나버린다. 

 

아마도 이 논문 저자는 통계를 돌려보고 이 도표와 같이 용혈성 빈혈과 정상 혹은 용혈성 빈혈이 아닌 다른 빈혈 환자에서 표준편차마저 겹쳐지지 않는점을 보고 박수치며 브라보를 외쳤을것이다. 

 

지금까지는 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하지 못했던 coombs test 이외에 확정적으로 검사 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었다고 하겠다. 

 

단순 진단 뿐 아니라 재발성 질환이기에 모니터링을 통해 조기 진단하여 수혈을 요하지 않는단계에서 컨트롤 할 조기경보 시스템을 만들어 낼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 at 2023. 2. 12. 16:23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