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신입 수의사, 특히 소위 강아지의 아픔을 최소한으로 하고 싶어 하는 인간미 넘치는(?) 풋내기들이 언제나 하는 고민하는 연구 주제가 강아지들이 싫어하는 직장 체온 이외에 다른 체온 측정 방법은 없는가?이다.
그 대표적인것이 사람처럼 귀 체온계를 이용한 체온 측정인데
이는 사람과 이도 즉, 귓구멍의 해부학적 구조 차이로 이미 측정 의미가 없다는 게 증명되어 있으니 논외로 하자.
이번 나온 논문에서는 그렇다면 사람처럼 겨드랑이 체온으로 평가하면 어떤가? 에 대한 논문이다.
겨드랑이만 하면 서운하니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체온도 같이 측정했고 결과는 예상한 대로 나왔다.
겨드랑이 체온측정이나 사타구니 체온측정은 체온을 저평가하여 직장 체온 측정을 대체할 수 없다는 것.
또한 민감도가 낮아서 고열을 놓치는 경우도 생기기에 반드시 직장 체온 측정을 해야 한다는 근거가 된다.
-------
직장에 온도계를 깊이 넣는 것에 대해 보호자는 거부감을 호소할 수 있다.
하지만 막상 직장 체온 검사를 하지 않았다가 만약 나중에 문제가 되면 화장실 나올 때 마음처럼 원칙에 어긋나게 진료를 봤다며 공격하는 사례도 많고 많으니 보호자가 아무리 뭐라 해도 반드시 직장 체온을 하여 과학적 근거를 확보할 것.
------
ps. 직장 체온 평가 말고 다른 체온 측정 방법을 고민했다고 비난하는 건 아니다. 나도 똑같이 고민하고 측정 테스트 해보고는 직장 체온측정을 대체할 방법이 없다는 걸 깨달았으니까.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장 종양에서 CT 촬영의 유용성 (0) | 2023.02.14 |
---|---|
용혈성 빈혈의 진단과 치료에서 당화혈색소의 역할 (0) | 2023.02.12 |
반려견의 bullae의 특성, 마취의 위험성? (0) | 2023.02.05 |
개의 후각능력 : 사람과 비교하여 (0) | 2023.01.31 |
길고양이 TNR과 함께 밥도 줘야 한다. (1) |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