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적인 개는 다리가 2쌍 즉, 4개인데 기형으로 인하여 여러 개의 다리가 있는 경우를 polymelia라고 부른다. 

 

칼라 사진이었으면 더 분명해 보였겠지만 이 친구는 항문 주변으로 다리가 하나 더 있는 상태이다. 

 

방사선 사진상으로는 다리뿐 아니라 장골이 하나 더 존재하는 상태로 관찰된다. 

중복결장 또한 관찰되는 친구다. 

 

이 친구의 경우 추가적인 다리는 제거수술을 통해 장골부터 쉽게 제거했고, 

중복 결장의 경우 기능상 문제가 없어 수술을 시행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예전에 개인적으로 본 중복십이지장의 증례는 원위의 접합부가 매우 좁아서 만성적인 중복 십이지장의 말단부가 마치 장폐색처럼 작용하여 임상증상을 유발하여 중복 십이지장을 제거했었고 예후는 정상적인 생활을 했었다. 

 

즉, 수술의 결정 요소는 임상증상의 유무라는 걸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이다. 

 

2018년 논문을 꺼내든 이유는 고양이에서 팔다리 과다증의 증례가 보고되었는데 아직 논문을 열어보지 못해서 기회삼아 겸사겸사 대충 알아보려고 올린다.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 at 2023. 3. 26. 16:11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