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양이에서 부신계 질환은 매우 드문 질환에 해당하여 보통 언급도 잘 되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 그렇다고 발생을 전혀 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배제하여서는 안 되는 장기이기도 하다. 이번에 보고된 증례는 마취 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급성 허혈성 부신괴사증으로 이차적인 에디슨병이 유발된 젊은 고양이 증례이니 참고하기 바람.

 

다만 언제나 언급하는 것처럼 "a cat"이 증례 보고되는 것은 그만큼 희박한 사항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는 유사 사례가 발현되었을 때 빠른 진단과 치료를 위한 증례보고이지, 이를 근거로 의료사고나 마취를 하지 말아야 할 근거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이런 증례는 마취 후 나타나는 이상 반응에 대한 의료사고가 아님을 증명하는 논문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예상, 예측, 대응할 수 없는 불가항력의 사고일 뿐이란 것의 증명이기 때문이다. 

 

특히 주목할 소견은 초음파 소견인데 addison's disease를 언급하면 부신의 크기 감소가 반사적으로 나타나지만 이번 증례는 급성 부신괴사인만큼 염증으로 인한 부종으로 부신의 크기가 정상보다 더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부종으로 인하여 에코의 감소 양상과 주변부 에코 상승을 동반하고 있는 특징을 볼 수 있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개의 에디슨병에서의 치료와 동일한 유지 보조요법이 유효하다. 

초음파로 최종 진단한것은 아니고 초음파 유도하 FNA를 통한 세포학 검사에서 뚜렷한 호중구 침윤을 관찰하여 adrenitis로 진단한 증례이다. 보통 한국의 수의사들은 부신에 대한 FNA에 대해 위험성이 너무 강조되어 두려워 하지만 필요할 때는 해야 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 당연한 접근이다. 주변에 대동맥과 대정맥이 주행하고 있어 두렵지만 오히려 후복강에 위치하여 호흡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기이기 때문에 다른 장기들에 비해 옆구리 접근할 때 쉽게 FNA를 할 수 있는 장기이니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FNA를 일상화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 at 2023. 12. 1. 16:23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