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디슨병은 개에서 드물게 발병하는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이다.
이 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혈액검사와 초음파 뿐 아니라 호르몬 검사까지 진행해야 하는데
과연 꼭 이렇게까지 복잡하게 가야 하는가? 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 논문으로 봐도 무방하다.
이미 예상을 했겠지만 호르몬 검사 이전의 모든 검사는 의심만을 가지게 할뿐 실제적이고 확실한 감별진단 방법이 아니기에 반드시 호르몬검사까지 진행해야 하는것이고
다른 질환의 가능성 또한 고려되어야 하기에 기타 검사들도 모두 필요하다는 말이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강아지가 성격이 더럽다? 간지러움을 치료해야 하는 이유 (0) | 2022.12.30 |
---|---|
새로 나온 반려견 만성신부전 조기진단 (0) | 2022.12.26 |
고양이 췌장염은 과잉진단되고 있는건가? (0) | 2022.12.18 |
우리집 고양이가 췌장염에 걸릴 확률? (0) | 2022.12.18 |
오연성 폐렴이 있는 반려견의 CT 영상 특징 (0) | 2022.12.16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