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담낭점액종은 개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고 진단되기에 그 중요성에 대해 희석효과에 의해 잊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담낭점액종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근거가 되는 조직학적 논문이 나와 소개한다.
담낭점액종이 있는경우 98%가 병변이 존재하고, 73%라는 높은 비율로 간섬유화가 있다고 한다. 간 섬유화는 그대로 진행되는 경우 간경화를 유발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담낭제거에 대한 자료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만큼 https://diamed.tistory.com/341 몇년 후에는 담낭제거술이 매우 일반화된 수술이 될 것으로 생각되니 미리부터 그 중요성에 대한 인지를 해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논문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종성 간염이 있는 반려견 최신지견. (0) | 2023.12.15 |
---|---|
자궁축농증 수술 후 환자는 어떤 변화를 겪을까? (0) | 2023.12.13 |
트라조돈이 반려견 혈중 코르티솔에 미치는 영향 (0) | 2023.12.09 |
저혈량성 쇽이 일어난 강아지에서의 수액용량 평가? (1) | 2023.12.07 |
말라세지아성 장염? (0) | 2023.12.05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